메뉴

<김현 교수 칼럼> 김의 에너지

김은 원래 바닷물 속의 바위에서 자라는 해초류이다. 해초류 중에서도 분홍색을 띠는 홍조류에 속한다. 그런데 요즘 우리가 먹는 대부분의 김은 바닷물 속에 담겨진 발에서 키우는 양식으로 생산된다.

김은 차가운 바닷물 속에서 자라고, 수확철도 겨울철이어서 상대적으로 따듯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깨끗한 깊은 바다보다는 물속이 탁한 연안의 갯벌이 많은 지역에서 자란다.

이렇게 뻘 물에서 자라기 때문에 자정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흙탕물 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정화하는 에너지가 많아 우리 몸의 노폐물의 배출에 큰 도움을 주는 연꽃과 같다.

또한 탁한 갯벌 지역의 바닷물은 대양의 깊은 바닷물에 비해 염기가 강하다.

이는 민물이 육지를 굽이굽이 흐르면서 받은 토(土) 에너지가 수 에너지를 만나 녹아내리면서, 바다에 도착할 때에는 금(金) 에너지로 변화하여 연안의 바닷물에 수(水) 에너지를 강화시켜주기 때문이다. 즉, 연안의 바닷물은 민물과 흙에서 온 금 에너지인 소금이 함께 융합되어 있는 것이다.

김의 외형은 뿌리가 없이 잎과 줄기로 구성된 엽상체로 생존하고, 엽상체의 표면에는 점액질이 약하게 덮여있다. 이러한 엽상체에는 연안 바닷물의 강한 염기 즉, 수(水) 에너지와 탁한 에너지를 이겨내는 강한 토 에너지와 깨끗한 성질이 가득하다.

이렇게 외부 환경과 반대의 성향을 지니는 것은 생물의 생존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깨끗한 물에 사는 해초류는 반대로 많은 유기물이 축적되어 있다고 보면, 틀림이 없다. 

바다에서 바로 걷어 올린 생김은 약간 미끈거리는 식감에 고소한 단맛이 난다. 이러한 생김을 잘 말리면 햇볕의 열에너지와 빛에너지에 의해서 건조되면서, 구수하면서도 단백한 생명력의 상화(相火) 에너지가 발현되어 축적된다. 즉, 생김에 있는 수 에너지가 열에너지에 힘입어 수화기제(水火旣濟)의 이치에 따라 상화 에너지가 발현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건조된 김은 불에 약하게 구어내면 상화 에너지가 더욱 강화되어 고소한 단맛이 감도는 구수한 냄새를 내어 식욕을 돋게 한다.

한편, 생김을 넣어 국을 끓이면 수분 즉, 수 에너지에 열에너지가 더해져서 상화에너지가 더 강하게 축적되어 구수하고 담백한 맛이 한층 더 풍미를 더한다.

정화능력을 가진 토 에너지와 상화 에너지가 가득한 김은 우리 몸에 쌓인 독을 배출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하기에 김은 우리 몸에서 토 에너지를 관장하는 위장과 비장에 큰 힘을 주며, 관련된 질환에서 회복하는 데에 아주 좋은 보양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는 가공하여 만든 김을 보면, 가공 중에서 미끈한 점액질이 손실되고, 본래의 토 에너지나 상화 에너지가 상실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이는 현대의 식품 가공법이 에너지를 전혀 감안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김을 이용하여 건강을 관리하려고 한다면 가공하지 않은 생김이나 햇볕에서 건조된  김을 활용해야한다. 이렇게 식재료의 성질을 하나하나 생각하면서 이용한다면, 우리 모두 건강한 나날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4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