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목디스크라는 진단이 나오면 다른 방법은 생각하지 않고 바로 수술과 시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 불거져 나온 디스크를 잘라 내는 것이다. 아니면 목부위에 나사를 박아서 디스크간격을 고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목디스크를 나온 것을 없애는 수술, 시술만이 방법인가?
한번 생각해 볼 문제이다. 목디스크가 불거져 나온 것만을 보면 해결방법이 없다. 왜 불거져 나왔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무엇인가 균형이 깨진 것이다. 원래 처음에는 목디스크가 나오지 않았는데 잘못된 생활로 인하여 균형이 깨지면서 목디스크가 온 것이다. 그 원인을 찾아서 없애는 것이 근본치료가 되는 것이다.
목디스크는 무엇일까?
목디스크는 목에 충격이나 힘이 가해져 경추사이의 디스크가 불거져 나와 목과 팔로 내려가는 신경을 눌러서 나타나는 증세다. 그래서 목의 통증이 있거나 어깨, 팔, 팔목, 손으로 내려가는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목디스크를 구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고개를 좌우로 돌릴 때에 목이나 팔쪽으로 짜릿한 감을 느끼게 되면 목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다. 또는 환자를 의자에 바르게 앉힌 다음에 환자의 뒤에 서서 양손으로 깍지를 낀후에 환자의 머리를 위에서 아래로 눌렀을 때에 팔로 짜릿한 자극이 내려가면 목디스크가 의심된다.
요즘, 머리에 무거운 것을 얹지도 않는데 목디스크가 왜 올까?
바로 자세가 안 좋은 경우다. 즉 생활의 변화에 따라 고개 숙이고 스마트폰을 많이 보거나, 머리를 앞으로 빼고 컴퓨터 작업을 하거나, 삐딱하게 앉아서 일하거나, 한쪽으로 무거운 것을 드는 것,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 긴장된 생활을 오래하는 것, 모두 목의 근육이 긴장을 초래하여 목디스크로 변하게 된다.
또 스트레스, 긴장, 과로, 화병등도 열이 올라가며 목디스크의 원인이 된다. 또 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서 경추의 손상이 와서 목디스크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목디스크를 어떻게 진단을 할까?
일반적으로 생각을 하며 MRI, CT를 찍어서 디스크가 나왔나 안 나왔나를 가지고 판단을 할 것이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원인을 알기 위하여서는 척추 전체를 찍어야 한다. 한다. MRI, CT에서는 국소적인 디스크의 간격만을 보아서 디스크를 진단한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진단과 치료를 원한다면 목디스크와 관련된 다른 곳의 상태도 확인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디스크도 요추, 흉추, 골반대, 견갑대, 턱관절 등의 상태를 살펴보아야 한다. 가끔은 목의 이상보다도 다른 부위의 이상으로 인하여 목디스크에 원인이 되는것도 많기 때문이다.
목디스크와 관련된 부분은 어디일까?
흉추나 요추의 이상이 심한 경우가 있다. 경추에서 흉추, 요추, 골반이 하나로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흉추, 요추의 문제가 심하면 경추에도 영향을 준다. 경추와 흉추, 요추를 병행하여 치료를 해야 한다. 또 골반대, 견갑대의 이상이 생겨도 목디스크에 영향을 준다 골반대, 견갑대가 심하게 틀어진 것이 있다면 같이 치료를 하여 주어야 한다.
턱관절과의 관계도 깊다. 턱관절이 목이 있는 뒤로 밀리면 아래의 이빨들이 뒤로 가고. 머리의 무게 중심이 뒤로 가게 되고, 목의 근육이 이를 잡아 주려고 긴장을 하다보면 목 주위의 근육이 긴장이 되어 목의 디스크가 눌리고 목디스크의 증세가 올 수 있다.
발의 구조도 목에 영향을 준다. 발이 가라앉아 평발이 되거나 까치발이 되면 다리의 균형이 깨지고 척추에도 영향을 주어 목디스크에도 영향을 준다.
목디스크를 치료하기 위하여서는 우리 몸의 어느 부분의 균형이 깨져서 목디스크에 영향을 주는 지를 파악한 후에 목부위와 함께 같이 치료하여 바른 자세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 외에 다치거나 특별히 자세가 나쁘지 않은 데도 목디스크가 온다면 스트레스, 긴장, 과로, 분노 등이 원인이 되어 화가 머리쪽으로 올라가는 것이다. 올라간 화로 인해서 목, 어깨가 긴장이 되고, 목디스크 위아래의 경추를 압박하여 목디스크가 불거져 나온다. 불거져나온 디스크가 목, 팔로 내려가는 신경을 누르면 목디스크의 증세가 나타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