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8 국정감사] 명태.고등어 주요 수산물 유통비용율 51.8%

유통단계별 인프라 구축도 미흡, 유통채널의 부족 등 문제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수산물 유통비용율이 지난해 기준 평균 51.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유통비용을 낮추기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의원(더불어민주당, 사진)이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민의 소비가 많은 4대 주요 수산물인 명태, 고등어, 갈치, 오징어의 유통비 비중은 지난해 평균 5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품목별 생산에서 계통출하량 가중치를 적용한 수치다. 품목별로는 명태(냉동)가 66.3%로 가장 높았고, 이어 고등어(선어) 56.7%, 오징어(선어) 45.9%, 갈치(선어) 44.7%의 순으로 확인됐다. 

해수부가 제출한‘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산지-도매-소매로 구분하여 유통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계는 고등어와 갈치가 산지단계에서 유통비용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선도관리를 위한 추가 발생 비용, 제주 등 섬지역의 물류 특성으로 인한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수산물 유통비용이 높은 이유는 복잡한 6단계의 유통경로와 유통단계별 인프라 구축 미흡이 지적된다. 수산물 유통단계는 생산자가 위판장(경매), 산지중도매인, 소비지도매시장(경매), 소비지중도매인, 소매상를 거쳐 소비자까지 총 6단계를 거치는 복잡한 구조이다. 

유통단계별 인프라 구축도 미흡한 실정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수산물 유통의 시발점이자 산지유통의 핵심시설인 위판장 220개 중 20년이 넘은 위판장은 지난해기준 64곳으로 약 30%의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산지 및 소비지 주요 유통시설이 낙후되고 바닥상장 등 위생관리가 미비하는 등 위생관리 측면과 어상자 등 규격이 지역별로 천차만별로 물류비용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유통채널의 부족이다. 농산물과 달리 수산물은 수협에서 운영하는 산지 로컬푸드형 직매장이 부족하다. 또한, 2016년 17개였던 점포수가 지난해 15개로 줄어들고 있는 바다마트와 실적이 저조한 온라인 직거래 등이 수협의 대표적인 판매경로이다. 

기존의 수산물 유통단계를 6단계에서 4단계로 유통단계축소를 위해 산지에서 수산물을 집적하여 상품을 생산, 판매하는 산지거점유통센터 5개소를 건립했지만 보관 물류가 주요 기능인 소비지분산물류센터의 경우 아직까지 착공도 하지 못한 상태다.  

박 의원은“수산물 유통비용 축소를 위해 물류 표준화를 통한 물류비용 절감, 직거래 확대, 생산자 어가지지를 위한 수산물 수매 등의 방안은 수반되어야 한다”며“이와 함께 농협의 하나로마트나 농협유통센터에 수협이 수산물을 납품․입점하는 방안처럼 농식품부-해수부, 농협-수협 등 관계부처가 MOU를 체결해 수산물 유통체계를 보다 다양화하는 공유경제 모델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8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