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8 국감] 유통이력 관리 수산물 고작 0.4%...수산물이력제 국민 10명 중 6명은 몰라

자율참여제로 업계 참여도 낮아 참여물량 ‧ 업체 모두 감소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최근 횟감용 활어의 원산지 둔갑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수산물에 대한 투명한 유통이력 관리를 골자로 하는 ‘수산물이력제’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008년 수산물 유통관리법 제27조에 근거해 ‘수산물이력제’를 도입했다. 수산물 안전사고 발생 시 유통경로를 추적해 원인을 규명하고 문제해결을 도모하겠다는 목적이다.   

1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2014~2017 수산물이력제 참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력제에 참여한 품목은 미역‧참조기‧고등어‧갈치 등 25개로, 약 8108톤의 물량에 수산물이력번호가 표시됐다.
 
이는 당해연도 참여 품목의 총 생산량인 201만 8626톤과 비교하면 고작 0.4%에 불과하다. 수산식품 1000개 중 4개에만 이력번호를 표시한 꼴이다. ‘농산물이력제’의 2016년 인증재배면적이 전체 면적 대비 5.4%를 차지한 것과 비교해 봐도 매우 낮은 수치다.   

품목별로 참여물량을 살펴보면 2014년에는 참조기 1851톤, 고등어 1066톤, 넙치 572톤 순으로 높았지만 2017년의 경우, 미역이 3258톤으로 크게 증가해 1위를 차지했고 참조기가 1443톤, 고등어가 1172톤으로 2014년에 이어 상위권을 유지했다.

하지만 수산물 이력제를 아는 사람보다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해양수산부가 최근 4년간 매년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수산물이력제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인지도는 매년 27.3%~39.7%에 그쳤다. 10명 중 6~7명은 모른다는 뜻이다. 

모르는 소비자가 더 많다보니 참여생산자와 참여업체도 줄어들었다. 2016년 7066명이었던 참여자는 지난해 149명이 줄어 6917명으로 떨어졌다. 

박 의원은 “해양수산부가 유통경로 투명화를 위해 수산물 이력제 정착에 힘써야한다”면서 “소비자 인지도를 제고하고 생산자 단체의 애로사항을 수렴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8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