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1국감] 식중독 사고 절반, 원인균 파악 불가

강선우 의원, 국내 미분석 균주수 1만1288개 쌓여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올해 부산 밀면집, 성남·고양·파주 김밥집 등에서 집단 식중독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최근 5년간 발생한 국내 식중독 사고 중 절반은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서울 강서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국에서 총 1,823건, 연평균 300여 건의 식중독 사건이 신고됐다. 같은 기간 식중독 원인균이 파악된 경우는 전체의 54%인 993건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원인균이 미확인됐거나, 현재 조사가 진행중이다.


국내 식중독 원인균 규명율이 저조한 이유로는 사전에 확보된 유전체 정보가 적은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의 경우 확보된 유전체 정보가 67만여 개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총 2,272개에 불과하다.


식중독 발생 시 원인분석을 위해 사고 의심 식품 등에서 분리한 원인균을 기존에 확보된 유전체 정보와 비교하게 되는데, 유전체 정보가 적다 보니 비교 자체가 어려워 원인균을 찾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7년부터 유전체 분석장비 도입을 통해 국내 식중독 원인조사 및 과학적인 원인규명에 활용할 유전체 정보를 DB화하는 ‘식중독균 추적관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현재 분석장비 부족으로, 확보된 식중독 균주 유전체조차 적기에 분석하지 못해, 쌓여있는 미분석 균주수만 11,288개에 달한다.
 

강선우 의원은 “대규모 집단 식중독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식중독 발생 시 신속·정확하게 원인균을 규명해내야 한다”며, “국민의 생명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인프라 확충을 통해 식중독균 추적관리사업의 실효성을 높여야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