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에는 세기에도 벅찬 축제가 많고, 농어촌에서도 사시사철 축제가 끊이지 않는다.
축제가 워낙 많다보니 축제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느 축제에 참여해야 할지가 고민이고, 농.어업인에게는 내실이 없어서 고민이다.
축제는 농어촌의 농외소득 증대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농어민과 관광객을 위해 지금의 축제가 과연 의미 있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축제가 너무 남발되고 있다는 것이다.
축제가 너무 많으면 오히려 관심을 얻지 못한다. 축제의 홍수 속에 있지만 알찬 정보는 얻지 못하고, 축제가 마치 일상처럼 느껴진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축제로 낭비되는 예산도 결코 만만치 않다. 예산 대비 효과를 생각해본다면 대부분 적자를 면치 못할 것이다.
따라하는 축제도 많다. 다른 곳에서 성공했다 싶으면 또 다른 지역에서 그 축제를 모방하다보니 전국에 유사한 축제도 드물지 않다.
자치단체가 모여 축제를 조정하고 통합할 필요가 있다. 광역단위의 축제를 정하고, 비록 시‧군이라 해도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축제를 선정한 후 유사한 축제가 있다면 중복을 피할 필요가 있다. 유사한 축제가 계속 반복된다면 어느 축제도 성공하지 못한다.
다음으로 관광객이 없는 자신들만의 축제라는 지적이 많다.
축제 개최측만 참가하는 축제라면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요즘 시‧군에서 주최하고 마을 주민들만 참여하는 축제가 허다하다고 한다. ‘그들만의 축제’로 시작해 ‘빈껍데기’로 끝난다면 농외소득으로서의 의미는 전혀 기대할 수 없다.
사실, 축제는 농외소득을 올릴 수 있는 일종의 6차산업적 성격을 가진다. 지역의 특산물과 문화를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이고, 축제에 참여한 관광객이 특산물을 구입하고, 주변의 식당과 숙소를 이용하게 되면 농외소득 창출에 큰 효과가 있다.
축제 그 자체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광객이 기대하는 축제가 되어야 한다. 그동안 다른 곳에서 보지 못했던 특별한 요소를 찾아야 한다. 요즘 축제에서의 체험은 다른 곳에서도 얼마든지 즐길 수 있는 것들이 너무 많다. 그렇다 보니 농어촌에서의 축제가 관광객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다.
축제에서의 바가지요금도 심각하다.
농어촌 축제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그곳에 가면 즐기는 것 못지않게 관심을 갖는 것이 지역의 농산물과 음식이다. 많은 사람들이 축제에 가면 마트나 슈퍼보다 저렴하게 농수산물을 구입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현지이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당연하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막상 축제에 가보면 전혀 그렇지가 않다. 오히려 시장에서 사는 것보다 훨씬 더 비싼 가격에 팔고 있다. 이런 경험을 해본 사람이라면 축제의 내실을 떠나서 다시는 그곳에서 농수산물을 구입하려고 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축제에 참여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음식 값이나 숙박요금도 말할 나위가 없다. 축제가 열리는 근처에서 먹고 묵을 생각이 있다가도 가격을 보고는 잠깐 축제 구경을 마치고 좀 떨어져 있는 시내로 발길을 돌린다.
바가지요금은 축제에 대한 신뢰를 떨어트리고 찾아오는 사람을 감소시키게 된다. 적정한 이윤이야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터무니없는 바가지 수준이 된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관광객은 그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를 즐기고, 특유의 식품을 맛보고자 한다. 여기저기서 비슷한 축제가 반복된다면 누가 찾겠는가? 축제에는 정(情)이 있어야 한다. 고향처럼 푸근하고 넉넉한 정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경쟁력 있는 축제를 위해서는 자치단체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축제를 개발하는 단계에서도 이웃하는 자치단체가 서로의 의견을 듣고 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