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의 농림축산식품부 등 종합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의원(제주시갑)이 “축산 악취 해결과 K-푸드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스마트축산 시스템을 국가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문 의원은 “축산업이 여전히 생산구조에 머물러 있어 동일한 생산량에도 부가가치가 낮고, 에너지·환경 부담만 커지고 있다”며 “생산·에너지·가공·유통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완전순환형 스마트축산 시스템을 정부 주도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미국·네덜란드·중국의 사례를 언급하며 “이들 국가는 스마트팜을 넘어 통합형 축산 플랫폼을 국가가 직접 지원해 에너지 자급, 악취 차단, 생산성 향상을 모두 달성했다”며 “한국도 아파트형 스마트 돈사와 같은 신개념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문 의원은 “제주는 구제역 백신 미접종 청정 인증을 얻고 싱가포르를 기점으로 K-푸드 수출 전진기지가 될 기회를 잡았지만 검역 과정에서 청결구역 관리·위생기준 등 40여 건의 미비로 수출이 무산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스마트축산을 체계적으로 지원했다면 이런 상황은 막을 수 있었다”며 “결국 농림부의 소극적 대응이 K-푸드 수출 기회를 날린 셈”이라고 직격했다.
이에 대해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작업장 조사 과정에서 일부 지적사항은 있었으나 수출 자체가 막힌 것은 아니다”며 “수출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생산·도축·가공 단계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해명했다.
이어 “위원님 말씀처럼 스마트축산으로의 전환은 필수 과제”라며 “일본의 완전순환형 모델을 참고해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지금처럼 개별 농가 단위 HACCP로는 수출국 기준을 충족할 수 없다”며 “정부가 전용농장 지정제, HACCP 전용라인, 통합증명체계 등 국가단위 스마트축산 인증 시스템을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고 재차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