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5 국감] “쌀·쇠고기 개방 없다”…송미령 장관, 외교부 ‘쿼터 발언’ 진화 나서

“외교부 실무진 통해 진위 확인…농업 민감성 강조한 취지일 뿐, 공식 협의 없었다”
농해수위 국감서 “콩 등 추가 개방 논의 전혀 없어…국익 수호·농업 방어 병행할 것”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의 농림축산식품부 등 종합감사에서 최근 조현 외교부 장관의 ‘쌀 수입 쿼터 확대 검토’ 발언이 도마에 올랐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쌀과 쇠고기는 정부 협상의 명백한 레드라인(금지선)이며, 외교부의 발언은 농업의 민감성을 강조한 수준일 뿐 공식 논의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은 “외교부 장관이 ‘국별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말했는데, 농식품부 입장과 완전히 다르다”며 “농민들이 깜짝 놀랐다. 외교부 장관에게 직접 확인도 안 했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질타했다. 이에 송 장관은 “협상 주체는 외교부가 아니라 부총리·산업부·통상교섭본부장으로 구성된 협상팀”이라며 “쌀이나 쇠고기, 콩 등은 협상 의제로 검토된 적이 전혀 없다”고 답했다.

이어 같은 당 서천호 의원 역시 “조현 장관 발언으로 쌀 개방이 이미 일정 부분 양해된 것으로 비칠 수 있다”며 “농식품부가 명확한 입장을 국민에게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송 장관은 “외교부 실무자에게 진위를 확인한 결과 ‘농업의 민감성을 강조한 취지’라는 답변을 받았다”며 “공식 협의에서 쌀 이야기가 나온 적이 없고, 농식품부 입장은 일관되게 ‘추가 개방은 없다’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어기구 위원장 역시 “농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농림부가 주무부처로서 정부 입장을 명확히 정리해 국민에게 설명하라”고 주문했다. 송 장관은 이에 “국익을 우선하되 농업의 민감성은 끝까지 방어하겠다”며 “쌀·쇠고기 추가 개방은 검토 대상이 아니다. 외교부와의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문제의 발언은 지난 외교통일위원회 국감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 쌀 수입 쿼터를 조금 더 늘릴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불거졌다. 정부는 “공식 협의 사항이 아니며, 기존 입장(쌀·쇠고기 추가 개방 불가)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재차 확인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