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노태영기자] 17일 전북 전주시 농촌진흥청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의 국정감사에서는 농촌진흥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등에 대한 주요 현안 점검이 이뤄졌다.
이날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지난 여름 폭염과 호우 속에서도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헌신한 농업인과 지속적으로 지원과 격려를 보내준 위원님들께 감사드린다”며 “농업인구의 고령화와 기후위기, 자연재해 등 농업·농촌이 직면한 어려움을 첨단과학 융복합 기술로 극복해 농업을 미래 신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이번 국정감사는 하나의 성과를 국민께 보고드리고 평가받는 자리인 만큼, 농진청 전 직원이 성실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강조했다.
농진청은 최근 잦은 강우로 인한 농작물 생육 피해에 대응해 벼 깨씨무늬병 방제, 감귤 열과 관리 등 현장기술 지원을 확대 중이다.
양파·배추 등 기계화율이 낮은 작물의 파종·정식·수확기계를 개발·보급하고, 과수화상병 신규 방제제 등록시험을 추진하는 등 농업현장 현안 대응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여름철 채소 수급 안정을 위한 재배지 확대, 병해충 방제, 저장기술 정립과 함께 에너지 절감형 사료 제조기술 확산 등 생산비 절감에도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농업·디지털 육종 등 미래농업 기술 집중
이 청장은 “스마트 농업기술 확산을 위해 저비용·중소규모 스마트팜 모델을 개발하고, 농업인 영농 AX(Agri Experience) 전환을 지원하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국가 디지털 육종 플랫폼 구축을 통해 육종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국산 농산물 기능성 소재 및 반려동물 사료 원료 발굴 등 산업화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후위기 대응·친환경 농업 전환
농진청은 고온·가뭄 대응 품종 개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메탄저감벼·저탄소 사료소재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외래 품종 대체 및 국산 과수 신품종 단지 육성을 추진하는 한편, 친환경 농업 전환을 위한 작목별 전환 모델을 개발해 지속가능한 농업 기반을 다지고 있다.
농업인 안전·농촌 활력 강화
고령농의 온열질환 예방과 농작업 안전장비 보급, 안전관리자 배치 등을 통해 “사고 없는 농촌현장”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 청년농업인 정착을 위한 기술교육·판로 확보 지원, 우수 치유농업시설 인증제 도입 등으로 농촌 활력 제고에도 나서고 있다.
국제협력·수출형 농산업 모델 구축
이 청장은 “파키스탄 등 개발도상국 대상 맞춤형 농업기술 지원, 하리브지역 기술협의체 출범 등 국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ODA 사업과 농기자재 수출 패키지 모델을 통해 신흥시장 개척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농진청은 현장 체감형 성과 창출을 통해 농업인의 소득 증대와 민생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오늘 위원님들이 주신 고견은 사업 추진 과정에 충실히 반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