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내 유업계 1위 서울우유협동조합의 문진섭 조합장이 국회 국정감사 증인석에 선다. 40년 협력사 삼영의 인수 무산 사태와 납품단가 일괄 강제 의혹 등 ‘갑질 논란’이 핵심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는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2025년도 국정감사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의 건’을 의결하고 일반증인 24명과 참고인 24명을 채택했다.
이 가운데 서울우유협동조합 문진섭 조합장이 일반증인으로 포함됐다. 오는 14일 열리는 농림축산식품부 국감에서 문 조합장은 협력사 삼영 인수 무산 사태와 납품단가 일괄 강제 의혹 등 ‘갑질 논란’을 놓고 의원들의 집중 추궁을 받을 전망이다.
논란의 출발점은 40년간 서울우유에 우유팩을 납품해온 삼영이다. 서울우유는 2021년 삼영 구미공장 인수를 위해 인수의향서를 체결하고 실사까지 마쳤지만, 2년 뒤 대의원회에서 돌연 부결했다. 인수를 기대하며 거래처를 정리한 삼영은 결국 매출 급감과 누적 손실로 공장을 폐업했고, 노동자 40여 명이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었다. 현재 삼영은 계약 파기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항소심이 진행 중이다.
또 다른 쟁점은 납품단가 인상률 문제다. 삼영은 원재료 가격 상승을 이유로 15~20% 인상을 요구했지만, 서울우유는 협력사 전체에 4.9% 인상률을 사실상 강제했다고 주장한다. 특히 인수 협상 중이던 삼영 측에는 “곧 식구가 될 회사가 동조하면 곤란하다”는 압박성 발언까지 있었다는 정황이 공정위 신고서에 기록됐다. 이에 삼영은 하도급법 위반을 근거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고, 현재 조정 절차가 진행 중이다.
서울우유는 “협동조합 의사결정은 대의원회의 권한이며, 납품 단가도 국제 규격과 원자재 비중을 고려한 합리적 수준이었다”며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유업계 1위이자 매출 2조 원 규모의 서울우유 조합장이 국정감사 증언대에 서게 되면서 업계와 소비자 모두의 이목이 쏠린다.
농해수위의 올해 국정감사는 14일 농식품부를 시작으로 28일 종합감사까지 2주간 이어진다. 문 조합장을 비롯해 문영표 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 사장(공금 유용 의혹), 박대준 쿠팡 대표(농수산물 수수료·배송비 문제) 등 굵직한 인사들이 줄줄이 증인으로 채택돼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