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사과 막는다...사과 안심 프로젝트 추진 물량 3배 확대

농식품부, '안정적 생산, 효율적 유통'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발표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 산지‧소비지 직거래 확대 통한 유통비용 절감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국산 과일을 소비할 수 있는 생산‧유통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2일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지난 2023년 2월부터 과수산업 발전포럼, 생산자 간담회 등을 12회 개최하여 생산자, 소비자, 전문가 등과 함께 다양한 과제를 논의해 왔으며, 1월부터 부내 개혁추진단을 구성하여 대책을 검토‧수립했다.

 

우리나라 과수 생산액은 2022년 기준 5조 8000억원으로 전체 농업 생산액에서 10%를 차지한다.

 

고품질화를 중점 추진하면서 품질 경쟁력은 갖추었지만 주요 생산국 대비 가격 경쟁력이 낮은 수준이며, 재해 대응 등 기후변화 준비도 미흡한 상황이다.

 

도매시장 유통 비중이 여전히 50% 수준으로 유통 비용 상승, 가격 변동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크기‧외관 중심의 재배 관행이 계속되고 있어 1인 가구 증가, 식습관 변화 등 소비 추세를 생산 과정에서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과수산업 정책 패러다임을 기후변화 대응 강화와 소비자 니즈 충족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2023년 봄철 냉해, 여름철 호우‧탄저병 등 동시다발적 재해‧병해충 피해로 주요 과일 생산량이 30% 내외로 감소했고, 이에 따라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소비 비중이 가장 큰 사과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사과 재배면적은 증가 추세이며, 평년 생산량은 49만톤 수준이다. 단기적으로 재배면적은 부족하지 않으며, 안정적 생산을 위해 다양한 재해‧병해충에 대비한 생육 관리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1월 민관 합동 생육관리협의체를 구성, 2024년 처음으로 사과‧배 재배지를 대상으로 냉해 예방약제를 보급하고, 미세살수장치, 방상펜 등 예방시설도 올해부터 사용할 수 있도록 3월까지 조기 설치했다.

 

수급 불안에 대비해 수급 안정용 계약재배물량을 6만톤으로 확대하고, 일부 물량은 출하시기 뿐만 아니라 출하처‧용도까지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강화된 방식으로 운용(지정출하 방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수급을 관리한다. 일상 소비용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작은 사과 시범적으로 1만톤도 생산한다. 

 

중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적지 변화, 재해 피해 증가 등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으므로, 앞으로도 국민이 부담없이 국산 과일을 소비할 수 있도록 재해‧수급 대응 역량 제고, 생산기반 확보 및 생산성 제고, 유통 구조 효율화, 소비자 선택권 다양화 등 4대 핵심 전략을 추진하여, 기후변화 대응력과 경쟁력을 높인다.

 

사과‧배 기준 현재 재배면적의 1~16% 수준인 3대 재해(냉해‧태풍‧폭염) 예방시설의 보급률을 오는 2030년까지 30%로 확충하고 피해 면적이 넓고 빈도가 잦은 위험지역에 우선 보급하고, 포도‧감귤에는 이미 보편화된 비가림 시설을 사과‧배에도 적용‧보급한다.

 

재해예방시설 30% 확충시 재해 피해는 약 31%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과·배 계약재배물량은 2023년 각 5만톤, 4만톤 수준에서 2030년 생산량의 30% 수준인 15만톤, 6만톤까지 확대한다.

 

통상 계약재배는 명절 성수품 공급에 주로 활용되어 평시 수급 관리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사과의 경우 물량 확대를 통해 명절 수요의 50%(12만톤 중 6만톤), 평시 수요의 25%(37만톤 중 9만톤)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수급 상황에 따라 최대 5만톤을 지정출하 방식으로 운용하여 도소매 등 특정 유통 경로의 가격 급등락에 대응한다.

 

미래 재배적지를 중심으로 생산성이 2배 이상 높은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를 조성한다.

 

스마트 과수원은 나무 형태‧배치를 단순화하여 기존 과수원에 비해 30% 노동력을 절감하고 햇빛 이용률을 높여 생산효율을 극대화한 과수원이다. 20ha 규모로 단지화하여 2025년 신규 5개소, 2030년까지 60개소(1,200ha), 전체 사과 재배면적의 4% 수준으로 조성하고, 이를 통해 사과 생산량의 8%를 공급한다.

 

재배적지 북상에 따라 강원도 등 새로운 사과 산지를 전략적으로 육성한다.

 

2030년까지 정선‧양구 등 강원 5대 사과 산지 재배면적을 2배로 확대하고, 스마트 과수원 조성, 거점APC 건립, 강원 사과 브랜드화 등을 추진한다.

 

온라인 도매시장을 활성화하고 산지-소비지 직거래를 늘려 유통단계를 1~2단계 단축하고 유통비용을 10% 절감한다.

 

사괴는 2030년까지 온라인 도매시장 유통 비중을 전체 거래의 15%까지 확대하고, 산지-소비지 직거래 비중도 22.6%에서 35%까지 높인다.

 

이를 위해, 산지와 소비지 다양한 유통 주체를 규모화‧조직화하여 참여를 유도한다. 산지는 거점‧스마트APC를 중심으로 취급 물량을 확대하고, 소비지는 중소형마트‧전통시장 등의 수요 물량을 규모화한다.

 

과수 산지 조직화의 주요 주체인 거점APC 24곳에 선별‧저장시설 등을 확충하고 취급 물량도 2배 이상 확대하여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와 산지-소비지 직거래의 핵심 주체로 육성한다.

 

1인 가구 확대, 다양한 제품 선호 등 소비 추세를 반영하여 노란 사과(골든볼), 초록 배(그린시스) 등 신품종 시장을 확대한다. 현장 기술지도를 강화하고 초기 시장 형성기 동안 홍보‧마케팅을 집중 지원한다. 일상 소비용 중소과 생산도 전체 면적의 5%까지 확대한다.

 

신품종‧중소과 특성을 반영하여 규격‧표시제도도 개선한다. 제수용 중심의 크기 규격을 완화하고, 소비자 관심이 높은 당도 등 품질 표시를 강화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기후변화는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고 지금 우리 앞에 직면한 현실”이라고 하면서, “전국민이 국산 과일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도록 올해 생육 관리와 중장기 생산 체계 전환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유통 구조 개선, 소비 트렌드 반영 등을 통해 국산 과일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