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K-푸드플러스 10월 수출 112억 달러 돌파…중동·EU·북미 ‘3대 성장축’

아이스크림·라면·포도 수출 급등…中·중동 시장 중심 고성장
농식품부 “프리미엄·건강 지향 제품 수요 확대…연말 140억불 달성 총력”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10월 K-푸드플러스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5.7% 증가한 112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농식품(K-푸드) 수출은 85억 9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으며, 수출 증가율이 높은 권역은 중동(GCC)이 20.4%, 유럽연합(EU+영국)도 14.8%, 북미가 13.9% 순이었고, 7월부터 10월까지는 미국 시장의 수출 성장세가 주춤하는 사이, 중동과 중국·홍콩·대만에 중화권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또한 중동에서는 아이스크림이 80.7%, 음료가 80.3%, 소스류도 33.9%가 성장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보였고, 중화권에서는 라면이 62.9%, 조제품 기타가 19.4%, 포도도 122.7%의 증가했다. 

 

아울러 라면은 전 세계 매운 볶음면의 인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젊은층을 겨냥한 인기 K-콘텐츠 활용 마케팅과 온, 오프라인 유통망 확장을 통해 중국, CIS, 일본, 미국 순으로 전년 대비 수출이 크게 증가했고, 조제품 기타(건강기능식품 등)는 글로벌 웰빙 트렌드와 함께 이너뷰티 제품 등 K-건강기능식품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 및 평가가 확산되면서 수출이 성장했으며, 커피조제품은 스틱형, RTD(Ready to Drink)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군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며 수출량이 많아졌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특히, 농식품부는 고급 원두를 사용한 프리미엄 커피와 설탕 함량을 줄인 건강 지향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김치는 주요 수출국인 일본으로의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증가율이 상반기 대비 소폭 증가했고, 캐나다·대만의 수출 성장률이 높았으며, 건강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 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산 김치가 우수한 발효식품이라는 인식이 지속 확산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포도는 생산량 증가로 인한 가격경쟁력 제고와 2024년도에 새롭게 도입한 대만 수출용 포도 사전등록제(ID)의 안정적인 정착으로 대만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아이스크림은 하절기 냉동 디저트 수요 증가와 K-푸드 브랜드 강세 덕분에 대형 유통매장 입점 등 현지 유통망 진출이 이루어진 결과, 미국·캐나다·유럽을 중심으로 저지방·식물성 아이스크림의 수출이 증가했다.

 

농산업 분야의 10월 말 기준 누적 수출액은 26억 4천만 달러로 집계되어,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물용의약품, 농약, 비료, 종자 등 주요 품목에서 고르게 수출이 늘었다.

 

동물용의약품은 라이신(동물용 영양제), 화학제제, 동물용 의료기기 품목이 실적 증가를 견인했고, 라이신의 경우 유럽에서 중국산 라이신을 대체하려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출이 크게 확대됐으며, 농약은 베트남·중국·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시장 중심으로 완제품 수요가 꾸준히 늘어난 데 더해, 다국적 기업의 국내 위탁생산 물량이 증가하면서 수출 기반이 강화됐다.

 

비료는 주력 시장인 태국·베트남 등 동남아 권역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며 소비가 연초부터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였고, 러시아와 중국 등 주요 비료 수출국의 비료 수출 통제 정책이 국제 비료 가격 상승을 유발하면서 국내 비료 수출실적 증가로 이어졌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수출 품목별로 주력 또는 개척 시장은 상이하지만, 우리 제품의 우수한 품질 경쟁력을 토대로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10월 말 기준 K-푸드 플러스 수출이 전년 대비 5.0% 증가하였다.”라고 하면서, “정부는 연말까지 정책자금 지원, 물류·통관 등 수출 애로 해소, 유통매장 판촉 및 한류 연계 글로벌 마케팅 등 수출기업 지원을 강화하여 2025년 K-푸드 플러스 수출 목표 140억불이 달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