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 이하 농진청)은 AI로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을 활용한 도축 자동화 로봇 기술을 민간 공동 연구로 추진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에 따르면 국내 돼지고기 소비량은 지난해 기준 도축량은 약 1,800만 마리, 1인당 소비량은 약 30kg이지만 도축업은 대표적인 3디 업종으로 꼽히며, 숙련 인력 고령화와 신규 인력 부족으로 인력난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국립축산과학원은 2025년부터 도축 자동화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축산식품연구동 내 도축장을 개보수하고, 도축 로봇 실증시설과 인공지능 학습 환경을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2026년 1분기까지 완비할 예정이며, 실증환경 구축이 완료되면, 도축 공정 중 핵심 단계인 목 절개 로봇과 복부 절개 로봇을 2026년 2분기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해 실제 도축 과정을 활용한 인공지능 학습, 절개 위치 자동 인식 정밀도 개선, 작업 위생성 고도화 연구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로보스는 돼지마다 다른 체형과 장기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능형 인공지능 학습 기술을 활용해 내장 적출 로봇 시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국립축산과학원이 조성 중인 실증시설에서 정밀도·반복성·안정성 등을 평가하고, 국산화·상용화 가능성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강근호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푸드테크과장은 “이번 공동 연구는 도축 현장의 인력난과 안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며“인공지능 학습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국산 도축 로봇 상용화와 축산업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 가겠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