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디카페인 커피 카페인 제거율은?” 충북도, 카페인 함량 실태조사 결과 공개

평균 95.2% 제거율…스위스워터 공법이 가장 우수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충북도(도지사 김영환)는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건강 트렌드인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확산으로 섭취가 증가하고 있는 디카페인 커피에 대해 카페인 함량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5년 4월부터 5월까지 도내 11개 시군의 커피전문점에서 판매되는 디카페인 아메리카노 총 50건을 대상으로 분석 결과, 도내 디카페인 커피의 카페인 농도는 평균 15.7 mg/L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표한 국내 유통 전문점 커피의 평균 카페인 함량(329.8 mg/L)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95.24%의 카페인 제거율을 보였고, 조사 대상 중 2건은 각각 86.4%, 89.2%의 제거율을 보여 국내 디카페인 표시기준(90% 이상 제거)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으나, 일반 성인의 하루 최대 카페인 섭취 권고량인 400 mg과 비교하면, 한 잔(354 mL) 기준 각각 15.86 mg, 12.65 mg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특히 국내 디카페인 표시기준은 미국(97%), EU(99%) 등 해외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화되어 있어, 향후 관련 기준의 개선과 함께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디카페인 커피의 제조 방식에 따른 카페인 잔류량 차이도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조사에서는 스위스워터 공법(물에 대한 카페인 용해도를 이용한 제거방식), 슈가케인 공법(사탕수수에서 유래한 천연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한 공법), CO₂ 초임계 추출법(고온·고압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제거방식) 등 세 가지 방식으로 구분하여 비교했다. 

 

분석 결과, 스위스워터 공법이 가장 높은 제거율(95.62%)을 보였으며, 슈가케인 공법(94.12%), CO₂초임계 추출법(92.48%) 순으로 나타났고, 도내 카페에서는 스위스워터 공법으로 제거된 원두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윤건묵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도내 디카페인 커피의 카페인 함량이 대체로 표시기준을 충족하며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카페인에 민감한 임산부, 수유부, 심혈관계 질환자 등은 제품 정보를 참고하여 섭취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