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설탕 가격인상 가공식품 도미노 우려..."정부 선제적 대책 나서야"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CJ제일제당과 삼양사, 대한제당 등 국내 주요 설탕 제조사들이 설탕 공급가격 인상을 발표한 가운데, 정부의 설탕 가격 안정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설탕 가격을 인상으로 빵, 과자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남인숙)는 23일 성명서를 통해 정부는 지난해 국제 곡물 가격 상승에 대응해 밀가루 가격 안정 지원 사업을 시행, 물가 안정 상황을 빠르게 유도한 것 같이 설탕 및 원당 가격에 대해서도 선제적 대책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J제일제당, 삼양사, 대한제당 등 국내 주요 설탕 제조사들은 최근 이달 말부터 일부 식품 기업에 공급하는 B2B(기업간) 설탕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제적으로 설탕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 이유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4월 세계 설탕 가격지수는 149.4다. 이는 지난 3월 127.0과 비교할 때 17.6% 올랐다. 11년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설탕의 원료인 원당 선물 가격 뉴욕상품거래소 기준 추이를 분석해 본 결과, 2018년 원당 선물가격은 2017년 대비 24.3% 크게 하락한 이후,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협의회는 "원당 선물 가격 상승에 따라 설탕의 공급 가격이 인상되면 설탕을 주 원재료로 하는 제과 및 빙과, 음료 업계의 가격 인상이 우려된다"며 "올해 초 이미 제과 ‧ 빙과류 제품은 10~20% 이상의 가격 인상을 했고, 음료 제품들 역시 가격 인상을 한 상황임에도 기업이 원재료 값 상승을 이유로 추가 인상을 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설탕은 밀가루, 식용유와 마찬가지로 기초 식재료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외식물가와 식품 산업 전체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설탕 가격 안정을 위한 정부의 신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협의회는 "정부는 지난 해 국제 곡물 가격 상승에 대응해 밀가루 가격 안정 지원 사업을 시행해 물가 안정 상황을 빠르게 유도한 것 같이 설탕 및 원당 가격에 대해서도 선제적 대책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며 "전기 ‧ 가스 요금 인상 등의 여러 악재 속에서 간신히 3%대로 들어선 소비자물가가 고물가로 급등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늦지 않은 시점에 실효성 있는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외식 및 식품 업체들의 가격 인상에 대한 모니터링과 소비자 가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를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