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25일 오후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에서 김종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 분야 농업인 단체장 간담회를 개최, 2025년 축산·방역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우·한돈·낙농·가금 등 품목별 농업인 단체장과 농협 관계자 등이 참석하였으며, 농식품부는 축산업의 중장기적 발전 및 축산분야 탄소중립 전략 이행 방안과 사전 예방 중심의 가축방역 등 2025년 축산·방역 업무 추진계획을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농식품부는 한우 수출 활성화 등 신 소비 시장 개척, 원유 생산비 저감을 위한 인센티브 개편,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양돈 악취 저감 및 사육환경 개선,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등 품목별 현안 과제들에 대해 관련 단체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해결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민간 주도의 자율방역을 강화하기 위해 방역 우수농장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외국인 근로자 등에 대한 방역 교육을 강화하는 동시에, 신종 가축 전염병의 국내 유입에 대비한 백신 비축, 긴급행동지침(SOP) 마련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손세희 축산관련단체협의회 회장은 “축산업계의 당면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와 생산자 단체간의 정기적 소통 채널을 마련하여 꾸준히 협력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라면서 축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민경천 한우자조금관리위원장도 인사말에서 "농가에서 하는 방역인프라사업에 대한 데이터수집과 보조사업 추진과 송아지 폐사율과 관련해 초유 보급사업 등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미국 트럼프 신행정부의 관세정책에서 현재 한국에 미국산 소고기 30개월령 이상 받도록 상무부에서 발표한 상황에 정부차원의 절대적인 방어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은 “정부는 우리 축산 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할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현장과의 적극적인 소통으로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당당한 축산업으로 거듭나는데에 필요한 발전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논의해 나갈 것” 이라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