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현장르포]"밥 한 끼, 커피 한 잔도 QR코드 찍어야"...코로나19로 바뀐 일상

음식점.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운영시간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배달대행 업체, 온라인몰, 가정간편식 판매는 수혜 입어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개인 QR코드를 찍어주세요. 카카오톡이나 네이버를 통하면 인증번호가 오고 인증번호를 개인 핸드폰에 입력하면 알려주시면 QR코드가 찍힙니다" 새로운 세상이 펼쳐졌다.

 

주말 당직을 마친 월요일 아침, 커피 한 잔 마시려고 들른 롯데리아의 직원이 말한 첫 마디였다. 점심을 먹기 위해서 들른 음식점도 역시 QR코드를 요구했다. 점심을 먹기 위해 인근의 회사원으로 가득차 우왕좌왕하는 분위기 속에서도 음식점의 직원 역시 QR코드를 요구했다.

 

지난 30일 정부는 코로나19의 대유행 기로에서 수도권 거리두기 3단계 격상 대신 음식점이나 카페, 주점 등 다중이용시설 운영시간을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만 이용할 수 있는 ‘2.5단계’ 카드를 꺼냈다. 3단계 격상 대신 1주일 간 국민에게 외부활동 최소화를 요구한 것.

 

사회적 거리두가 2.5단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31일, 모닝커피 한 잔 마시기 위해 들른 롯데리아는 핸드폰 번호를 적고 체온을 측정했다. 편의점 역시 야간 음주 행위가 금지하기 위해 야외용 취식 테이블을 수거했다. 매장을 내점해서 취식하는 행위가 번거롭거나 서로가 꺼리는 분위기가 된 지금 식품.유통업계는 어떻게 변화됐을까.

 

역삼동에서 대형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운영하는 A씨는 "1주일 전보다 매출은 30%가량 줄었지만 배달의 수요는 오히려 급증했다"면서 "거리두기가 본격화 되면서 커피·디저트를 구매하는 방문 고객의 수요가 자택과 사무실로 배달 주문이 늘어 난 것"이라고 내다봤다.

 

 

취재 중 만난 라이더 B씨도 "배송 서비스 이용 고객이 2주 전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늘었다"면서 "일반음식점과 휴게음식점 등이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포장·배달 주문만 가능하도록 영업이 제한되자 모두 배달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어 일손이 모자랄 지경"이라고 밝혔다.

 

외출 자제 등의 영향으로 온라인으로 식료품을 사려는 소비자의 수도 크게 늘었다. 현대백화점의 식품 전문몰 현대식품관 투홈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시행한 30일 주문이 급증하면서 새벽 배송과 택배 배송 주문을 오후 4시께 조기 마감했다. 매출은 1주일 전인 23일과 비교했을때 3배 가량 늘었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프레시몰의 매출도 상황은 비슷했다. GS프레시몰의 매출은 전주 대비 2배가 늘었으며, SSG닷컴도 매출이 40%가 증가했다. 배달의민족에서 운영하는 B마켓은 1주일 전과 비교했을때 매출이 무려 3배나 증가했다.

 

편의점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수도 급증했다. 편의점 CU는 확진자가 급증한 지난 17일부터 28일까지의 매출이 지난달 동기 대비 80% 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CU관계자는 "재택근무의 영향으로 평일에도 매출이 가파르게 오른 것"이라면서 "삼각김밥과 도시락 가정간편식의 매출이 90% 이상 급상승했다"고 말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배달대행 업체와 가정간편식을 판매하는 CJ제일제당, 농심, 오뚜기 등은 코로나19로 수혜를 얻고 있다"면서 "코로나19로 식품, 외식 업체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배달'이라는 틈새 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배달 메뉴와 생존 전략 등 새판을 짜는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