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대표이사 박서홍)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13일부터 14일까지 충남 예산에서 농산 자조금 사업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농협경제지주, 농림축산식품부, 산림청, 자조금 단체(22개소)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농산 자조금의 조성 및 육성에 관한 법률안(농산 자조금법) 제정방향 논의, 수급안정 사업 개편사항 토론, 농산 자조금 단체 우수사례 발표 순서로 이루어졌다. 농산 자조금 사업은 품목별 생산자 조직화를 통해 자율적인 수급 조절 체계를 구축하고, 농산물의 판로 확대와 가격 안정을 도모해 농업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사업이다.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는“농산 자조금 단체는 단순한 생산자 조직이 아닌 농업의 지속 발전과 경쟁력을 책임지는 핵심 주체”라며“앞으로도 농협은 선제적 수급관리, 소비촉진 홍보, 고품질 농산물 생산 지도 등 자조금 사업의 공익적 기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비상품 농산물의 폐기 방지와 농업인의 소득 보전을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충남 천안갑)은 3일 농업재해 등으로 인해 등급 규격에 부합하지 않는 농산물에 대한 소비촉진 및 유통 활성화 지원 근거를 신설하는 '지역농산물 이용촉진 및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법은 지역농산물 이용 촉진과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제도는 마련돼 있으나, 모양이나 크기, 색상이 불균일하거나 자연재해 등으로 외관 손상이 발생한 이른바 '못난이 농산물'에 대한 소비·유통 지원 규정은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 이러한 농산물은 품질과 영양에는 문제가 없음에도 상품성이 낮다는 이유로 유통이 제한되고 폐기되는 경우가 많아 농업인 소득 감소와 자원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정안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지방자치단체장이 농업재해 등으로 등급규격에 부적합한 농산물에 대해 소비촉진 및 유통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조항(제15조의2)을 신설하는 내용을 담았다. 문진석 의원은 “못난이 농산물은 모양만 다를 뿐 영양과 안전성에는 차이가 없다”며 “법적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