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의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서는 SPC 삼립 시흥공장 사망사고를 둘러싸고 노동 안전을 방치한 SPC 경영진의 책임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도세호 SPC 대표는 연이은 중대재해 원인을 두고 의원들의 강한 질타를 받으며 “이번 사고는 인재(人災)”라며 책임을 인정했다. ◇ “22년·23년·올해까지 계속 사고…이제는 인재다” 국민의힘 김소희 의원은 질의에서 SPC 노동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착용하는 폴리에스터 소재 작업복을 입고 등장했다. 김 의원은 “22년, 23년에 이어 올해까지도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며 “이쯤 되면 구조적 문제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도세호 대표는 “이번 사고는 분명히 인재(人災)라고 생각한다"며 “반성하고 개선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이 작업복은 기계에 끼이면 잘 찢어지지 않아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며 “해외에서는 끼임 시 찢어지는 안전복을 쓴다. 전면 교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도세호 대표는 “위원님 말씀에 공감한다. 필요 부서부터 교체하겠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또 “사고가 끊이지 않는데도 야간 안전관리자가 부재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위원장 안호영)의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서 SPC 삼립 시흥공장 근로자 사망사고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의원은 “2022년 평택 SPL 공장, 2023년 성남 샤니공장, 2025년 시흥 SPC 삼립공장 사망 사고는 모두 예견된 인재였다”며 “비상정지 버튼이 없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있었고, 기계가 멈추지 않은 채 노동자가 몸을 숙여 작업하다 숨졌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작업 중 사고 위험이 있는 경우 노동자가 이동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며 “하지만 SPC 공장에서는 비상정지 버튼이 멀리 있거나 가려져 있었고, 덮개를 열어도 자동정지 장치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고 이후에도 같은 모델, 유사한 기계들이 여전히 현장에서 가동 중”이라며 “노동자들은 여전히 같은 위험 속에서 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사고 이후 동일 기종 기계의 교체나 비상장치 개선 여부에 대해서는 미처 확인하지 못했다”며 “빠른 시일 내에 현황을 점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