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HACCP 딜레마에 빠진 식품업계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과 정부정책 강화로 식품업계는 바야흐로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지 못하면 문을 닫아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됐다. 이제 식품안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식품제조부터 식탁까지 안전을 보장하는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을 적용받는 식품업체도 많이 늘고 있지만 아직도 규모가 작은 중소 식품업체들 중에서는 HACCP 인증을 꺼려하는 업체가 많아 우려된다.

국내 식품산업은 대기업 보다 영세한 중소업체가 압도적으로 많은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식품안전에 걸림돌이 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들 업체를 무턱대고 비난하기도 어렵다. 현실적으로 정부의 HACCP 기준을 맞추기 위해선 적지않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식품사업도 다른 사업과 마찬가지로 이윤을 남겨야 하는 사업이므로 회사의 이익을 포기하면서 까지 HACCP을 적용받으라는 것은 어찌보면 무리한 요구일 수 있다. 실제로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업체 측에서도 HACCP 인증을 받고 싶지만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기준이 까다로워 망설여진다”고 토로한 바 있다.

따라서 HACCP 적용업소를 늘리기 위해선 식품안전에 대한 업체들의 인식전환이 선행돼야 한다고 판단된다. HACCP을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규제로 볼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투자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말이다.

식중독 등 식품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업체가 받게 되는 막대한 손해에 대해 고려한다면 업체 측에서도 HACCP 인증을 더 이상 미루지 못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당국도 업체 측의 어려운 사정을 감안해 HACCP 인증을 받은 업체에 대해 여러 가지 혜택을 제공하는 등의 지원정책을 통해 HACCP 적용업소가 더욱 늘어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