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발 붙일 데 없는 식품위생사범

전 국민의 감시와 질타에도 불구하고 암암리에 활동하고 있는 비양심적인 식품위생사범들의 입지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식약청에서도 위해사범중앙수사단을 만들고 식품사고를 근절시킨다고 벼르고 있으며, 서울시 등 각 지자체에서도 ‘학부모 식품안전 지킴이’, ‘소비자 식품안전감시단’ 등을 가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보다 한 술 더 떠 경기도는 아예 식품위생과 원산지표시 위반 등을 전담 수사하는 특별사법경찰을 구성해 식품위생사범을 뿌리 뽑으려 하고 있다. 특별사법경찰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경기도는 수원지방검찰청에 부장검사 파견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이 얼마나 식품위생사범 척결에 효과를 보일지는 미지수다. 어쩌면 국민들의 여론을 등에 업은 일회성 이벤트일 수 도 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국민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의식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정부가 식품안전에 대해 기민하게 대처하는 것이 바로 이를 반증하는 사례일 것이다.

이제 국민들은 식품위생 사범이 만드는 불량식품을 더 이상 사먹지 않음은 물론이고 한 발 더 나아가 불량식품을 척결하고 식품위생 사범을 퇴출시킬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식품위생 사범도 정부의 단속만 피하려 할 것이 아니라 자진해서 안전한 식품을 만들도록 노력해 국민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