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종계인 10명 중 8명 쿼터제 도입 필요

종계인 10명 중 8명은 원종계 쿼터제의 도입 필요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양계협회가 지난달 22일 천안웨딩코리아에서 열린 ‘종계인 대회 및 종계DB구축사업 심포지엄’에서 종계인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80.7%가 ‘쿼터제를 원한다’고 답했다.

이어 필요없다 15.9%, 관심없다 3.4% 순이었다.

협회는 “육원종계 과잉물량에 대한 자율 감축 어려움과 곡물가 등 상승에 양계의 과잉생산이 겹쳐 제 가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단기적인 계획으로 원종계 쿼터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분석했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문제로도 원종계 쿼터제 실시가 43.0%로 절반 가까이 나왔다. 질병대책(22.6%), 종계DB사업(19.4%), 생산성 향상(15.1%)이 뒤를 이었다.

종계DB 사업에 대해서는 ‘매우 만족한다(13.4%)’, ‘만족한다(48.6%)’ 등 긍적적인 대답이 62%로 대체적으로 만족해 했다. 보통이다 31.4%, 불만이다 6.1%, 매우 불만이다 0.5% 순으로 답했다.

지난해 10월부터 발간하고 있는 종계 데이터베이스 발표자료에 대해서는 신뢰한다 60.3%, 보통이다 34.4%, 불신한다 5.3%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농장에 피해를 준 질병에 대한 질문에는 저병원성 AI 19.8%, 마이코플라즈마 14.7%, 닭빈혈증 14.7%, 뉴캐슬병 13.2%, 전염성기관지염 13.2%, 가금티푸스 8.8%, 마렉병 6.6%, 뉴모바이러스 4.4%, 추백리 2.2%, 아데노바이러스 2.2%, 콜레라 1.4%, IBD 0.7%, 고병원성 AI 0.7%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난 2006년 종계인대회 설문결과 역시 저병원성 AI(28.0%)가 가장 피해를 주는 질병으로 꼽히면서 몇 년째 만연한 질병으로 꼽히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최근 1년 내에 가금티푸스 백신 접종에 대해서는 ‘했다’는 농가가 지난해(27%) 보다 10% 높은 37%로 답했다. 하지만 ‘하지 않았다’는 농가 63%에 비해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협회는 “백신접종으로 인한 종계는 피해가 없으나 보균계가 난계대로 후대 병아리에 질병을 옮겨 육계농장에서는 난계대 전염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 유발되고 있어 양계생산성 향상을 위한 차원에서 가금티푸스 백신 접종은 근절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금티푸스 백신을 했다면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는 난계대 질병 예방차원에서 58.9%, 안하면 불안해서 35.8%, 질병이 만연해서 5.1% 순으로 나타났다.

폐사계 처리는 동물(개)의 먹이 45.3%, 매몰 37.9%, 소각 15.8%, 랜더링 처리 1.1%로 조사됐다.

질병으로 인한 폐사된 가축이 동물의 먹이로 이용될 경우 2, 3차 감염위험 등 위생차원에서 우려된다고 협회는 지적했다.

경제주령 이후의 노계 도태는 중간상인에 의뢰 43.0%, 계열회사에 의뢰 37.2%, 직접 도계장을 통해 16.3%, 협회를 통해 3.5% 순으로 집계됐다.

또 양계협회가 노계 적정가격을 책정해 노계알선사업을 한다면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71.4%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고려해보겠다는 22.6%, 불참하겠다는 6.0%에 불과했다.

종계인들은 종계업계 발전을 위해 협회에 바라는 것으로 계열화업체와 종계농가, 양계전문인, 정부, 농협이 함께 협의해 종계 표준계약서를 만들어 앞으로 무허가.무등록을 차단해 줄 것을 꼽았다.

한편 양계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양계산업 당면 현안과제로 ‘유통구조 개선(39.7%), 의무자조금 정착화(39.7%), FTA대비 국제경쟁력강화(17.1%), HPAI 재유입 방지(3.4%)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또 협회 기구 중 FTA 대책위원회 설치에 대해서는 찬성한다가 83.3%로
반대한다 16.7%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올해 내 육계의무자조금 사업은 찬성한다 96.8%, 반대한다 3.2%로 조사됐다.

올해 산란계의무자조금 대의원 구성에 대해서는 찬성한다 93.9%, 반대한다 6.1%로 집계됐다.

양계업 안정화(수수조절) 방안으로는 종계 원종계 쿼터제 실시가 53.4%로 가장 많았으며, 시설확대제한(22.9%), 사육면적축소(11.9%), 시장원리적용(11.9%)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