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동의보감 속 약이자 왕실 건강식…한우, 현대 과학으로 입증된 보양 가치

조선시대 기록부터 현대 영양학까지 한우의 효능 재조명
한우자조금, ‘한우 잇(EAT)다’ 캠페인 통해 건강 보양식 가치 확산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아침 저녁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에는 자칫 면역력이 떨어지기 쉽다.

 

면역력을 보충하기 위한 대표 보양식으로 자리 잡은 한우는 단순한 식재료가 아니라 오랜 세월 약으로 불릴 만큼 귀하게 여겨져 왔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한우를 활용한 보양식의 역사를 1일 소개했다. 

 

조선시대 사람들에게 소고기는 몸을 회복시키는 대표적인 약식(藥食)으로 동의보감에는 소고기의 성질은 평이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비위를 보하고 설사를 멎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소갈(당뇨)이나 부종을 낫게 하며, 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한다는 설명도 확인됨에 따라 영양 결핍과 질환 속에서 소고기가 중요한 치료 음식으로 쓰였음을 보여준다.

 

지봉유설 역시 소고기를 즐겨 먹은 인물이 90세가 넘도록 장수했다는 사례를 전하며, 소고기가 장수와 건강의 상징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소고기를 제허백손(모든 허약증)을 보하는 재료로 설명하며, 소의 각 부위가 사람의 신체를 보완한다는 인식이 이어져 왔다.

 

또한 세종대왕은 고기가 빠진 수라상에서는 식사를 하지 못할 정도로 소고기를 즐겼다는 일화가 전해지며, 태종도 임금은 하루라도 고기를 먹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을 만큼 소고기는 왕실 건강을 돌보는 데 빠질 수 없는 귀한 식재료로 충직한 신하에게 한우 고기를 하사해 노고를 치하하며 한우가 권력과 보상의 상징으로도 쓰였음을 의미한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고기 관련 사례만 세종 재위기에 500건이 넘으며 조선 전기의 문신 김계우, 중기의 문신 이헌국 등 80세 이상 장수한 인물들이 한우 고기를 즐겼다는 기록은 소고기가 왕실을 넘어 민간에서도 장수 음식으로 여겨졌음을 뒷받침한다고 한우자조금은 설명했다.

 

전통 속에서 축적된 경험은 현대에 와서 한우 단백질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아미노산이 균형 있게 들어 있어, 근육을 키우고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며 호르몬과 효소를 만드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소고기의 헴철은 식물성 철분보다 흡수율이 2~3배 높아 빈혈 예방에 효과적이며, 월경으로 인해 철분이 많이 소실되는 여성이나, 나이가 들수록 흡수율이 떨어지는 노인에게 중요한 영양소로 꼽힌다.

 

특히 비타민 B군은 에너지 대사와 신경계 유지, 적혈구 생성에 필수적이고, 아연과 셀레늄은 면역력 강화와 항산화 작용에 도움을 주며 전통적으로 몸을 살리는 음식으로 여겨진 한우가 현대 영양학적으로도 건강한 보양식임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셈이다. 

 

이와함께 한우자조금은 올해 한우 잇(EAT)다 캠페인을 통해 전통 속에서 이어온 보양 음식으로서의 한우 가치를 현대인의 식탁 위에 새롭게 조명하고 있으며 조상들이 건강을 지키기 위해 즐겼던 약이 되는 음식 한우의 의미를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민경천 위원장은 “한우는 고문헌과 왕실 기록 속에서 몸을 보하는 귀한 음식으로 자리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과학적 근거를 통해 그 가치가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우 잇(EAT)다’ 캠페인을 통해 한우의 보양 가치를 널리 알리고 국민의 건강한 식탁을 지켜가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