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축산물HACCP기준원 '갈길 멀다'

축산물HACCP기준원은 지난 2008년 설립한 이래 9월말 현재 가공 978개, 유통 154개, 농장 755개, 사료 78개 업체 등 총 1965개 업체에 HACCP 인증을 부여했다.

국내 HACCP는 크게 축산분야와 식품분야 2가지로 나뉘어져 관리되고 있다. 그 중 축산물HACCP기준원은 축산물 HACCP에 관한 지정 및 관리 등을 총괄하고 있다.

지난 19일 제 2대 선장으로 석희진 신임 원장이 취임한 축산물HACCP기준원은 제 1기의 인프라 구축에 이어 제 2기 성장의 기회를 맞고 있다.

석희진 원장은 최근 취임식에서 기준원의 정체성 재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강조하고 "사회의 HACCP의 패러다임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기준원의 역할이 보다 커진다"며 "HACCP 정책에 대해 현장 조언을 맡는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아직 축산 분야 HACCP를 관리하고 있는 기준원이 역할 증대를 통해 풀어야 할 숙제는 많다.

우선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드러난 HACCP업체 사후 관리가 그 중 하나이다.

지난 9일 식약청이 HACCP인증 업체 제품 78개가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적발된 사실이 한나라당 심재철 의원에 의해 밝혀졌다.

HACCP 홍보 부족 및 인증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정부는 향후 2012년까지 식품 위생 및 안전성 강화를 위해 HACCP 지정업소를 4000여개소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본지는 지난 9월 4일 홍보 부족으로 일반 국민의 80%가 HACCP에 대해 모르고 있다는 보도를 한 바 있다. 인센티브 부재로 인한 자율확대의 어려움도 짚었다.

인증업체들은 인증 뿐 아니라 관리에서도 비용을 지출해야 하지만 적당한 인센티브가 따르지 않는한 HACCP에 관한 자율확대가 어렵다는게 업계의 주장이다.

만성적인 전문인력 부족 역시 여전하다. HACCP 지원에 관한 교육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아직까지 필요한 전문인력이 부족하다고 아우성이다. 이들 문제 등은 정부와 업계가 논의를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