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최성락 식약청 식품안전국장

식품은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만만한 대상이 아니다. 약품 또는 독극물에만 전문성을 부여하지 말고 식품에 대해서도 전문성을 부여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국제적인 문제가 됐던 멜라민 파동 등을 겪은 소비자들은 먹거리에 보다 더 안전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식약청의 올 식의약 안전강화 6대 과제 중 국민이 체감하는 식·의약 안전관리와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기준 등을 중심으로 최성락 식품안전국장에게 들어봤다.


멜라민.쥐머리 새우깡 등 파문
이물관리 종합개선 대책 마련
중소기업 HACCP지원 적극 추진


▷ 지난해는 멜라민 파동.쥐머리 새우깡 등 유독 식품관련 사고가 많은 한해였습니다. 식약청 식품안전 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부서장으로서 소회를 말씀해 주십시오.


- 지난 한해는 다양한 식품안전 사고로 식약청이나 식품업계, 소비자들 모두 힘든 한해였다고 생각됩니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사건을 통하여 식품안전관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성찰과 개선을 위한 범정부적 노력을 이끌어내는 큰 계기가 된 것도 사실입니다.

앞으로도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을 선진국 수준으로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 조그만한 힘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 식약청은 지난해에도 식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불만 등을 개선하기위한 다양한 정책토론회를 개최 했었는데 올 한해 식품안전관리의 방향은 무엇입니까?

- 작년 이물혼입, 멜라민 검출 등 식품안전 사고로 국민의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과 불신이 증폭됨에 따라 식품안전관리제도를 전반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소비자신고센터, 선진국형 회수등급제, 위해식품회수지침마련, 수입식품에 대한 무작위검사도 강화, 우수 수입업소제(GIP)등에 대한 이물관리 종합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위해 사전예방 대책 추진과 안전하고 품질좋은 식품 수입, 안전사고 긴급대응단을 구성 운영하는 등 선진국(EU) 수준의 범 정부적 식품안전종합대책을 추진중이며, 국내외 유해물질 관련 정보 수집.분석.강화를 위한 위해예방정책 등 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에 노력 할 것입니다.

지난해에는 곰팡이독소.중금속.잔류농약 등 80건의 유해물질에 대한 기준을 강화했고 올해는 모니터링과 위해평가 등을 통해 87건의 안전관리기준을 강화하겠습니다.

GMO식품에 대해서는 유전자재조합식품 안전성평가자료 심사위원회를 통한 안전성 심사와 표시제 확대 및 사후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식약청은 지난해 마련된 종합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며 정책의 화두를 국민안심, 기업활력 으로 설정해 식약청의 역량을 집중 할 계획입니다.

국민이 체감하는 식탁안전 확보와 안전하고 건강한 어린이 먹을거리 환경 조성, 규제합리화를 통한 기업의 활력충전을 주요 역점 사업으로 하여 다양한 대책도 함께 추진하겠습니다.

▷ 식약청은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대책에 역점을 두고 있는데 올해에는 어떤 방향으로 추진할 계획이십니까?

- 식약청에서 미래세대 주역인 어린이의 안전 확보와 건강 증진을 위해 지난해 3월에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공포 하였으며 법률이 시행되는 올 해 3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 관리 정책을 추진할 것입니다.

우선 특별법 주요 내용 중 하나인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Green Food Zone) 지정 제도를 지난해 시범사업(8개시.도, 64개 학교)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며, 합리적인 고열량.저영양 식품기준을 마련하고 이들 식품이 학교 내에서 판매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할 계획입니다.

또한 학교 주변 저가 수입식품 판매업소에 대한 집중적인 기획단속을 통해 안전한 먹을거리 환경조성, 지자체별 어린이 식생활 안전 수준을 평가 할 수 있는 지수를 마련해 시행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영양 강화를 위한 가공식품 속의 당.나트륨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며, 패스트푸드 영양성분 표시 및 가공식품 녹색 표시, 우수 식품 및 우수 업소에 대한 인증 추진 등 어린이와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우수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현재 전체 식품제조.가공업소의 2%에 불과한 475개가 HACCP적용업소로 지정됐는데 2012년까지 4000개소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요?

- 국민의 식품안전에 대한 기대감과 환경오염, 유해물질 첨가 등 위해요인의 의도적.비의도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전에 식품안전을 확보할 수있는 HACCP을 확산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식약청은 식품업체의 HACCP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업체의 재정기반 취약, 전문인력 부족 등 HACCP 적용 역량이 미흡하여 획기적으로 적용업체를 늘리지 못했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에는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중소기업체가 쉽게 HACCP를 적용할 수 있도록 쉬운 기준을 마련하겠습니다.

또한 전문 컨설팅비 지원, 무상 현장 기술지원 및 기준서 작성 교육 등 각종 지원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며, 언론을 통한 집중 홍보로 영업자의 자율적용 의지를 고취하는데 노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