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푸드TV] 정부, 올리브영과 손잡고 K뷰티 키운다...전용펀드 조성

오유경 식약처장 "GMP 기준 국제 기준과 조화시켜 기업 부담 완화"
민관 합동 K뷰티 유망기업 발굴, 정책자금 ‘K-뷰티 네트워크론’ 신설

[푸드투데이 = 황인선.노태영 기자] "식약처는 다양한 전통 소재를 사용한 천연.유기 화장품의 인증을 자율로 전환하고, 국내 화장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기준을 국제 기준과 조화시켜 기업의 부담을 완화하면서도 국제 경쟁력을 키워 나가겠습니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24일 서울 용산구 CJ올리브영 본사에서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K뷰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공동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최근 화장품 수출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이 화장품 수출의 약 63%를 담당하며 화장품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은 역대 최고치인 53억 달러를 기록하며, 화장품은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으로 올라섰다. 올해에도 성장세가 계속 이어져 상반기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은 3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0.8% 증가했다.


국내 화장품 업계는 중소 브랜드사가 쉽게 진입하고,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등 활발한 생태계가 구축돼 있으며, 우리 화장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 증가에 따라 아마존 등 글로벌 플랫폼사들도 국내 우수제품 발굴을 위한 노력을 적극 추진 중이다. 


하지만 급속한 글로벌 트렌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끊임없는 혁신과 마케팅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기업들도 있고, 자국 산업 및 소비자 보호 등을 위해 강화되고 있는 해외 수출규제 대응에 대한 중소기업 애로도 가중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민간 생태계에 힘을 더하여 화장품 수출 확대 기회를 더 많은 기업들이 활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우리 화장품은 아시아를 넘어 세계 165개국으로 수출되면서 지난해 수출 규모도 9조 3000억 원을 넘었다"며 "그렇지만 다양해지는 소비 패턴, 유통 경로, 높아지는 규제 장벽 등 앞으로 우리가 가야 할 길은 녹록지 않다. 정부는 기업과 소통하며 함께 지혜를 모아 애로사항을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과거에는 대기업이 화장품 수출을 이끌었지만 지금은 인디 브랜드들이 급격이 성장하며 중소기업이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며, “민‧관이 협력해 더 많은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한 단계 높게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는 "현재 올리브영의 매출의 80%가 중기 제품"이라며 "중기 브랜드사의 끊임없는 도전과 올리브영 같은 채널의 도전이 만나 함께 성장하면서 세계를 대표하는 뷰티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왔다는 자부심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K화장품 수출 활성화 방안은 동반 성장의 표본이 된 K화장품 산업이 글로벌로 향해 또 한 번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민관 합동 K뷰티 유망기업 발굴...'K-뷰티 전용펀드' 조성
정책자금 ‘K-뷰티 네트워크론’ 신설, 다품종.소량 생산시설 구축


이번 방안은 ▲K-뷰티 유망기업 민관 협업 발굴‧육성, ▲해외 수출규제 체계적 대응, ▲K-뷰티 생태계 Level-up 등 세 가지 전략으로 구성됐다.


우선, 민간의 우수한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해 K-뷰티 글로벌화 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한다. CJ 올리브영, 아마존, 콜마, 코스맥스 등 민간 플랫폼 및 제조‧유통사와 협업해 수출 유망기업을 발굴하고, 선정기업에게는 민간 협업기관들이 자사의 유통망 및 전문성 등을 활용하여 마케팅과 수출 전략 컨설팅을 지원하고, 식약처와 중기부는 수출 지원 정책 등을 연계 지원한다. 또한 콜마와 모태펀드가 공동으로 해외 진출 화장품 제조기업 등에 중점 투자하는 'K-뷰티 전용펀드'도 최초로 조성할 계획이다.


화장품 수출규제 대응 지원도 강화한다. 주요 국가별 수출규제 대응매뉴얼을 현행화하는 한편, 신흥국 중심으로 대응매뉴얼을 추가 제작‧배포한다. 화장품글로벌규제조화센터를 통해 신흥시장인 러시아, 중동 지역 등에 대한 규제정보를 확대 제공하고, 국내 화장품 GMP 기준을 국제기준(ISO)과 조화해 인증을 준비하는 업체 부담을 낮추는 등 국내 규제도 합리화한다. 또한, 해외 수출규제에 대한 장기적인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해 안전성 평가제도를 도입하는 등 화장품 안전관리 지원체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혁신제품이 신속하게 개발‧생산될 수 있도록 정책자금, 스마트공장, R&D 등 지원수단을 강화한다. 브랜드사가 혁신제품을 신속히 생산할 수 있도록 제조사와의 발주 계약을 근거로 정책자금을 공급하는 ‘K-뷰티 네트워크론’을 신설하고, 식약처-중기부 협업 스마트공장을 화장품업까지 확대해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생산시설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