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술은 맥주다. 만드는 비용이 저렴하고 그 과정도 비교적 간편하기 때문이다. 가장 오래된 양조주라고 할 수 있는 맥주는 기원전 3000년전부터 만들기 시작했다. 다른 주종과 마찬가지로 맥주의 고향은 수도원이다. 맥주는 수도승들의 영양보충용이였다. 부활절 40일 전인 사순절 기간에 철저한 금식을 해야했던 수도승들은 액체 이외에는 음식을 먹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사망하는 수도승들이 속출했고 그때부터 맥주를 영양보충용으로 먹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1910년대부터 일본에서 건너온 맥주를 상류층들만 먹을 수 있었다. 1933년 오비맥주와 조선맥주로 시작했다. 조선맥주가 오늘날의 하이트진로다. 일제 강점기였던만큼 오비맥주는 쇼와기린맥주, 하이트진로는 대일본맥주(현 아사히맥주)가 모기업이다. 이 시기의 맥주는 귀한 술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번화가에만 소량으로 유통됐다. 해방 후, 당시 한국 맥주는 맥주라는 표현보다는 주로 '삐루(ビール)'라는 일본식 이름으로 불리었다. '삐루'는 일본이 한국에서 철수하고 1948년, 소화기린 맥주는 OB맥주의 전신인 동양 맥주 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면서 '맥주'라는 이름을 찾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편의점. 동네슈퍼마켓을 밀어내고 요즘 시대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식료품 가게죠. 특히 혼자 사는 1인 가구에게 편의점은 이제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됐습니다. 이들에게는 많은 식재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혼자 먹는데 버리는 양이 더 많기도 합니다. 끼니마다 조리하는 것도 사실상 힘들죠. 편의점은 나홀로족이 필요한 만큼만 팔고, 이미 완성된 간단한 한끼를 판매합니다. 5000원이면 나름 만족스런 한끼 밥상을 만들 수 있죠. 편의점에는 또 없는게 없습니다. 국민간식 프라이드 치킨도 팔죠. 한마리를 시키면 언제나 남겼는데 먹기 딱 좋게 소분해서 팝니다. 조각으로 파니 좋아하는 날개와 다리만 살 수 있어 좋고, 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어 더 좋죠. 코로나19로 서민경제가 무너진 요즘.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 수 밖에 없는 모두가 힘든 시기. 편의점 업계는 상생의 정신을 발휘해 과감하게 치킨값을 10%나 올렸습니다. 이런 시국에 왜? 마침 카드에는 정부에서 소비진작과 경제활성화를 위해 지급한 소금과 같은 돈이 조금 들어와 있었습니다. 절묘하게도.. 편의점업계에서는 "원재료값이 올라 가격 인상은 불가피했고, 연초부터 계획돼 있었다"고 치
[푸드투데이 = 이윤서 기자] 아식한 식감과 달콤한 맛이 일품인 참외. 요즘 제철을 맞은 참외는 수박과 함께 수분이 많은 과일로 더위가 시작되는 계절에 인기가 많다. 낮은 칼로리와 풍부한 식이섬유로 여름철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참외는 1년생 과채류로 멜론류의 변종이다. 중앙아시아 인도를 중심지로 중국, 한국, 일본에서 재배됐다. 우리나라에는 신라시대 이전부터 재배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최대 참외 재배 지역은 경북 서남쪽에 위치한 '성주'다. 성주는 국내 참외 생산량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성주 참외는 당도가 높기로 유명한데 이는 기름진 땅과 맑은 물, 풍부한 일사량, 큰 일교차 때문이다. 참외 어디서 좋을까? 성주군청에 따르면 참외 꼭지 주변에는 '쿠쿨비타신'이 풍부한데, 쿠쿨비타신은 동물실험 결과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증명된 바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진해 거담 작용을 하고 풍담, 황달, 이뇨에도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 갈증을 해소시켜주는 과일이라 할 수 있으며 체질이 산성으로 변하기 쉬운 여름철에 참외는 특히 좋은 식품이며 피로회복에 좋다. 본초서(本草書)에서의 참외는 성(性)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019년을 선풍적인 인기를 끈 마성의 소스 ‘마라’. 혀가 마비될 것 같은 얼얼한 대륙의 매운 맛. 새로운 매운 맛을 찾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불닭소스와 함께 열풍 일으켰다. 2019년 네이버 소스 인기검색어 최상위에 불닭소스와 함께 최다검색을 기록했다. 하지만 마라열풍은 그리 오래 가지 않았다. 마라에 대한 관심은 차갑게 식어갔고, 사람들은 새로운 매운 맛을 찾아떠났다. 대륙의 매운 맛이 식상해 진 것일까? 호불호가 강했던 마라에 대한 관심은 급격히 줄었고, 이를 대신할 새로운 맛이 사람들의 입맛을 저격했다. 바로.. 매운 고추와 식초, 마늘, 설탕, 소금을 이용해 만든 태국풍 핫소스. 새콤하면서도 칼칼한 매운 맛의 스리라차. 올들어 네이버 소스 인기검색어 1위는 이 스리라차가 차지했다. 지난해 입안을 얼얼하게 자극했던 마라는 순위 밖으로 광탈. 태국의 만능소스인 스리라차는 특유의 톡쏘는 신맛과 태국 고추의 매운맛은 쌀국수, 피자, 타코 등 어떤 음식과도 잘 어울린다. 2017년 최고인기 소스는 바질페스토였다. 2018년은 쯔유. 2019년 마라열풍에 이어 올해는 스리라차가 미식가들의 입맛을 관통했다. 새로운 맛을 찾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삶의 가장 큰 비밀은 나와 같은 주파수를 내는 사람이 있는 곳이 어디 있을까 라는 물음이다. 인간의 삶과 유통구조는 묘하게도 닮아있다. 인생 최대의 선물은 비슷한 성향의 두 사람이 만나는 것인데 커피전문점의 전문성과 소비자의 니즈가 맞아떨어지며 커피전문점은 폭팔적으로 늘어나게된다. 2018년 커피전문점 시장은 약 7조 원으로 추정되며 2023년에는 9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원두 소비량은 약 15만톤으로 세계에서 소비하는 2.2%에 해당한다. 2018년 기준 국내 주요 커피 전문점의 매장 수는 이디야가 2407개로 가장 많았다. 스타벅스(1262), 투썸플레이스(1069), 할리스(538), 커피빈(291), 폴바셋(100)이 뒤를 잇고 있다. 커피전문점의 흥행하며 아메리카노와 라떼가 전부였던 커피의 종류가 좀 더 다양해졌으며, 집에서 커피를 즐기는 홈카페(Home Cafe)족도 늘어났다. 에스프레소 머신, 로스터기 등 커피머신 수입액은 2010년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 국내 커피머신 수입 규모는 2010년 6000달러(한화 약 7800억)수준이었으나 2018년 3억 1000만 달러(한화 약 3659억)로 약 5배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비슷한 세계관을 가진 젊은남녀의 만남은 영혼의 불꽃을 일으키며 활활 타오르는 법. 1933년, 스물네 살의 이상은 고혹적이고 풋풋했던 금홍이에게 첫 눈에 반한다. 그 해 여름 이상은 금홍이와 함께 종로에 '제비다방'을 열었다. '제비다방'은 문인들의 아지트가 되었지만 영업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이미 폐병이 심해져 몸 상태가 심상치 않았던 이상은 금홍이에게 버림을 받아도 다방에 대한 미련을 포기하지 못했다. 이상은 '식스나인', '쓰루', '무기' 등의 다방을 개업했지만 모두 폐업을 맞았다. 하지만 이상의 다방은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나려는 당대 모던걸과 모던보이들의 명소였다. 1945년 서울에만 백여개도 안됐던 다방은 1960년대말에는 4000개를 돌파하며 다방 전성시대가 시작된다. 당시 한국의 인구와 경제수준을 감안하면 어마어마한 수치다. 당시 인스턴트 커피는 대부분 다방에서 소비됐다. 한국에서 커피가 직접 만들어진 것에 대해서는 동서식품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초반 동서식품은 미국 제너럴 푸드社와 기술을 제휴한 동서식품은 맥스웰하우스 커피를 국내에서 생산했다. 또, 경기도 부평공장을 완공하면서 본격적인 분말 커피
[푸드투데이 = 이윤서 기자] 어릴적 체하게 되면 할머니가 물에 매실액을 따뜻하게 타서 주신 기억이 있다. 지금도 소화가 안될 때면 매실액을 타서 마시곤 한다. 이같은 할머니표 처방은 매실이 '천연 소화제'라고 불리기 때문이다. 매실은 5월이 되면 초록 초록한 자태를 뽐내기 시작한다. 체했을 때 차로 마시기도 하고 각종 음식에 쓰이기도 한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매실은 신 맛을 가지고 있고 독이 없으며 기를 내려 가슴앓이를 없앨 뿐만 아니라 마음을 편하게 하고 갈증과 설사를 멈추게 하며 근육과 맥박이 활기를 찾게 한다고 기록돼 있다. 무기질, 비타민, 유기산 영양 풍부...매실 신맛 소화효소 분비 촉진 매실에는 무기질, 비타민, 유기산(시트르산, 사과산, 호박산, 주석산) 등 영양이 풍부한데, 매실의 신맛이 소화효소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불량과 위장장애를 개선해 준다. 또한 위산이 과다 분비되는 것을 조절해 줘 과식이나 배탈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실은 다른 과일에 비해 구연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천연구연산은 젖산 등 피로물질을 탄산가스나 물로 분해해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식중독도 예방한다? 매실은 3독을 없애준다는 말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직장인들에게 커피는 '물'같은 음료다. 커피로 해장하고 식사 후 커피 한 잔하고 회의하면서 미팅하면서 커피를 마신다. 영화 '암살'에서 독립군 안옥윤이 된 전지현은 경성으로 가면 뭘 해보고 싶냐는 질문에 "커피라는 것도 마셔보고 싶고 연애도 하고 싶다"고 말한다. 영화의 배경인 1930년대였다. 연애와 커피를 동급으로 칠 정도로 커피에 대한 동경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시간은 흐르고 흘러 2020년 현재 한국은 커피 수입국가에서 세계 6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커피시장규모는 2014년 5조 4000억대에서 2017년에는 11조 7400억을 기록했다. 한 해에 15만 9309톤이라는 어마어마한 원두를 수입하고 있다. 조용한 아침의 나라는 어떻게 커피공화국이 됐을까? '커피'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인물은 '고종'이다. 고종황제는 널리 알려진대로 1895년에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커피를 마셨다. 이 커피를 처음으로 선보인 인물은 안토니엣 손탁이다. 그녀는 웨벨 러시아공사의 처형으로 공사가 부임할 때 따라 들어와 명성황후 시해 후 러시아공사관으로 파천한 고종황제를 가까이서 수발을 들었던 여인이다. 러시아공사관으로 파천한 고종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적절한 시기에 눈에 들어오는 적절한 사람, 적절한 장소와 분위기, 이 모두가 맞아떨어지는 순간 연애가 시작된다. 느닷없이 일어난 일 같아도 모든 것에는 때가 있는 법. 이것을 우리는 타이밍이라고 부른다. 한국인과 기나긴 열애중인 삼겹살도 타이밍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우리나라에서 육고기는 소(牛)였다. 고구려 시대 만주지방에서 한민족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들여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한국농업사학회의 농업사연구에 따르면 1909년 돼지의 도축수는 11만5천마리에 불과했지만 2016년에는 1654만5491마리까지 큰 폭으로 증가한다. 그동안 어떤 일이 일어난 것일까. 사실 삼겹살이라는 명칭이 사전에 등록된 때는 1994년도로 불과 26년 전이다. 삼겹살은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 교수였던 방신영(方信榮)이 쓴 '조선요리제법(朝鮮料理製法)'에서 세겹살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존재를 알린다. 1970년대 이전의 돼지고기요리는 수육과 볶음 위주였다. 1970년대에 산업화라는 타이밍을 맞으며 삼겹살의 역사도 함께 시작된다. 1973년 용인자연농원 양돈장이 개장되며 과학적인 양동산업이 시작됐다. 용인자연농원 양돈장은 당시 아시아 최대규모로 30만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오 나는 지금 별을 마시고 있구나" 1693년 프랑스 베네딕틴 오빌리에 수도원의 수사였던 돔 피에르 페리뇽이 샴페인을 맛보고 내뱉은 첫마디였다. 2019년 이승과 저승사이 그 어디쯤 호텔 델루나에서 장만월로 분한 아이유는 차갑고 냉소적인 말투로 읊조린다. "나는 가난이 싫어, 맨날 캐비아랑 샴페인만 먹을 거야" 공기와 접촉하는 순간 만을 기다렸다는 듯이 코르크마개로 꼭꼭 눌러둔 탄산이 '펑'소리를 내면 축제가 시작된다. 5600만 개의 기포가 내는 소리는 매혹 그 자체다. 와인을 마시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샴'또는 '뽀글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샴페인. 뭔가를 축하할 때 터트리는 술로 여겨졌던 샴페인이 무엇이길래 이 난리일까. 샴페인(champagne)이라는 명찰을 달으려면 프랑스 파리 북동부 샹파뉴(Champagne)라는 출신성분이 필요하다. 샴페인의 당도는 달지 않은 순서대로 엑스트라 브뤼(Extra Brut)와 브뤼(Brut), 엑스트라 드라이(Extra Dry), 섹(Sec), 드미 섹(Demi-Sec), 두스(Doux)로 나뉜다. 샴페인의 탄생설화는 돔 페리뇽으로 시작되지만 가장 추운 와인 산지인 샹파뉴 샴페인 하우스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