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청년층 당뇨병 환자의 낮은 인지율과 치료율을 지적하며, “청년 당뇨병 사각지대를 해소할 체계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비례대표)은 31일 청년층 당뇨병 문제가 과소평가되고 있다며, 생애주기별 맞춤형 건강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2023년 건강보험 급여비 상위 질환’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은 치주염, 고혈압, 요실금에 이어 급여비 지출 4위에 해당할 만큼 국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대한당뇨병학회가 지난해 발표한 ‘노인·청년 당뇨병 현황’ 분석에 따르면, 19~39세 청년층 당뇨병 환자는 약 30만 명에 이르지만, 이 중 자신이 당뇨병 환자임을 인지한 비율은 43.3%, 치료를 받고 있는 비율은 34.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 환자 10명 중 7명이 제대로 된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김 의원은 “청년 당뇨병은 식습관 변화와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패턴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늘어나고 있지만,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대응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국회에서 「소아·청소년·청년 당뇨병 환자 지원법」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해당 법안은 청년 당뇨병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포괄적 관리 체계와 교육·치료·상담·차별방지 지원 등을 담고 있다.
김 의원은 “당뇨병이 더는 노인성 질환으로만 인식돼선 안 된다”며 “청년 건강권 보장과 조기 치료 지원을 통해 미래세대의 건강한 사회 참여를 도울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