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스토리텔링49]한 봉지에 담긴 온기 어린 겨울간식 ‘붕어빵’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윤덕노 작가가 한국의 거리음식의 기원을 기술한 "붕어빵에도 족보가 있다"에 의하면 붕어빵은 가난하고 고단한 과거를 함께해온 간식이 아닌 식사대용 음식이었다. 1930년대 도미빵의 틀을 기초로 만들어진 붕어빵은 일본=도미라는 공식처럼 한국인들에게 더 친숙한 일본=붕어의 팥소를 넣은 형태로 판매가 되었다.

 

1960~70년대 산업개발 시대에는 ‘풀빵’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졌다. 어린 공장노동자들이 더 어린 동생들과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밥 대신 끼니를 때웠던 것이 붕어빵이다.

 

그 후로 세월이 흘러도 붕어빵은 여전히 서민들의 대표 간식이었다. 하지만 천 원짜리 지폐 한 장이면 한 봉지 가득 붕어빵을 살 수 있었던 모습은 이제 추억이 됐다. 붕어빵이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다. 붕어빵 파는 노점을 찾아보기 힘들어지면서 주변의 붕어빵 판매처를 알려주는 앱(가슴 속 삼천원, 대동붕어빵여지도, 붕세권)도 등장했 붕어빵다. 상인들은 고물가와 지자체 단속의 여파로 장사를 지속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붉은 팥 도매가격이 평년보다 8%가량 오르는 등 재료비는 줄줄이 상승했다. 조리에 필요한 LPG가스 가격은 환율 상승으로 인상 압박을 받고 있다.

 

실제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 유통정보에 따르면 붕어빵 주원료인 수입산 팥의 가격은 1kg당 1만 3500원대다. 1년 전보다 20% 가까이 뛴 가격이다. 밀가루 설탕 등 부재료 가격도 오르며 붕어빵 가격도 당연히 비싸졌다.

 

조리에 필요한 LPG가스 가격은 환율 상승으로 가격이 인상 됐으며, 단속도 강화됐다. 불법으로 노점을 차리고 영업을 할 경우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벌받게 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격인상이 크게 느껴지지만 판매자 입장에서는 추위를 견디는 노동에 비해 쥐어지는 이익이 적은 것은 당연지사다.

최근엔 에어프라이기나 미니오븐을 이용해 간편하게 집에서 구워먹을 수 있는 냉동 붕어빵 제품도 다양하게 나왔으며 디저트로 붕어빵을 파는 카페도 늘었다.

 

하지만 추운겨울날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린 붕어빵 봉지를 건네받아, 호호불며 한마리씩 먹는 달콤함에는 비할 수 없다.

 

그런데 붕어빵과 잉어빵의 차이는 뭘까? '모양이 새겨진 우묵하게 팬 틀에 밀가루 반죽과 팥소를 넣어 구운 빵'을 풀빵이라고 한다. 풀빵 중에 국화 모양 틀에 구운 건 국화빵, 붕어 모양 틀에 구운 건 붕어빵이다. 하지만 잉어빵은 황금잉어빵 회사에서 만든 상표 이름이다. 재료도 조금씩 다르다. 붕어빵은 반죽의 주재료가 밀가루인데 비해, 잉어빵은 밀가루와 찹쌀이 들어간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