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감] 노동진 수협회장 취임 3년, 경영 ‘빨간 불’…부실자산 2조8천억 육박

  • 등록 2025.10.14 09:04:19
크게보기

경제·금융사업 모두 적자 지속, 지역조합 연체율 11% 돌파
송옥주 의원 “구조개선·여신관리 강화로 위기 대응해야”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취임한 2023년부터 3년간 수협의 경영 전반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제사업과 상호금융 모두 부진을 면치 못하며, 지역 조합의 자산 건전성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경기 화성 갑)이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역수협 경제사업은 지난 10년 이상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액은 2023년 1,412억 원, 2024년 1,287억 원, 2025년 8월 846억 원 등 한 차례도 흑자를 낸 적이 없었다.

 

그나마 흑자 경영을 통해서 경제사업의 적자를 메워 왔던 지역수협의 상호금융 사업도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2,226억 원, 2022년 2,535억 원의 이익을 실현했지만, 2023년 841억 원으로 급감한 데 이어, 지난해 1,417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도 8월 기준 471억 원의 손실을 봤다.

 

자산 건전성 지표도 급격히 악화됐다. 지난 8월 기준 전국 10대 권역별 수협 가운데 평균 연체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11.45%)이었다. 부산(10.33%), 전북(9.99%), 제주(9.16%), 경인(8.27%) 등이 전국 평균(8.11%)을 웃돌았다. 수협의 전체 연체율도 2020년 말 2.44%에서 5년여 동안 세 배 이상 상승했다.

 

전국 평균(8.11%)보다 높은 곳이 절반이었다. 지역 금융권에선 위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는 수치다. 지방은행 연체율은 1%를 넘는 일이 드물다.

 

일부 지역 조합의 부실 자산이 연체율을 크게 높인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각 권역의 89개 조합 중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금융당국 권고치인 3%를 넘는 곳은 60개(67.4%)에 달했다.

 

대출금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 여신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전북 군산시수협, 부산 제1·2구 잠수기수협, 경북 울릉군수협 등 일부 조합은 수치가 20% 전후까지 치솟은 상태다.

 

부실 자산은 가파르게 늘어나는데 채권 매각은 부진했다. 지역수협의 부실채권 매각 금액은 2020년 655억 원에서 올해 9월 3,817억 원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 총계는 7,357억 원에서 2조 8,836억 원으로 급증했다.

 

그동안 줄곧 흑자 경영을 해오던 수협중앙회 경제사업 역시 2022년 84억 원의 수익을 올렸으나, 2024년에는 50억 원의 손실로 돌아섰다. 올해도 8월 말 기준 43억 원의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문제는 수익만 감소한 것이 아니라 매출 자체가 동반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협중앙회 경제사업 매출액은 2023년 1조 3,146억 원에서 2024년 1조 2,844억 원, 2025년 상반기 5,501억 원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역수협 경제사업 역시 2023년 1조 9,366억 원에서 2024년 1조 8,921억 원, 2025년 8월 1조 1,412억 원으로 줄어들고 있다.

 

수협 측은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에 따른 고수온으로 인한 어획량 감소와 소비 부진 등이 적자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작년 어로(포획 어업) 수입은 전년 대비 16.2% 줄어드는 등 양식장보다 특히 어려움이 크다.

 

송옥주 의원은 이러한 대외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구조적 한계 개선에 소극적이었던 수협 경영진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송의원은 “경제사업은 어업인의 생계와 연결되고 소비자에게도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경제사업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변화하는 사업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앙회 차원에서 지역 조합의 여신심사와 관리 역량을 강화할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부실채권 매각처를 다변화하고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는 등의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푸드투데이 황인선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




5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1076 등록일자 : 2009.12.21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충북본부 : 충북본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TEL.070-7728-7008 영남본부 : 김해시 봉황동 26-6번지 2층 TEL. 055-905-7730 FAX. 055-327-0139 ⓒ 2002 Foodtoday.or.kr.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푸드투데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