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홈플러스 매각 위기가 ‘농산물 유통 대란’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국정감사장에 다시 등장했다. 여당을 중심으로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협이 공익적 차원에서 홈플러스 인수를 검토해야 한다”는 요구가 잇따랐다.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의 농림축산식품부 등 종합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은 “농협이 단순한 적자 논리보다 농가 피해 최소화 관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홈플러스 인수 검토를 촉구했다.
송 의원은 “홈플러스는 국산 농축수산물 매출이 2조 원 규모, 거래 농가만 5만 곳에 이른다”며 “단순히 한 민간 유통사의 경영난으로 볼 게 아니라 농업경제와 소비자 공급망 전체에 미치는 공익 문제”라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홈플러스가 문을 닫으면 가락시장이나 대도시 대형 유통사에 쏠림이 발생하고, 도시 소비자와 산지 직거래망이 붕괴될 수 있다”며 “농협이 적자만 이유로 손 놓을 게 아니라 유통망 관점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에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의원님 말씀에 상당히 일리가 있다. 홈플러스 거래 규모가 이렇게 큰 줄 몰랐다”며 “농협은 도시 유통망이 약한 만큼 농업인 피해가 없도록 관련 내용을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다.
앞서 지난 24일 열린 농협중앙회 국정감사에서도 홈플러스 인수 문제는 핵심 쟁점으로 다시 떠올랐다. 어기구 위원장은 “홈플러스는 2만 명의 직원과 협력업체·가족 등 30만 명의 생계가 걸린 사안”이라며 “농협이 공익적 관점에서 인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유통부문에서만 연간 800억 원 적자가 발생해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라며 “공식적으로 인수 검토한 바는 없고, 현 시점에서는 부담이 크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송옥주 의원은 “농협 유통망의 대도시 점유율이 13%에도 못 미치는 상황에서 금융에만 치중하는 건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농민의 판로를 살리는 공익 유통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현재 홈플러스 매각은 공개경쟁 입찰 절차에 따라 진행 중이며, 인수 희망자는 오는 31일까지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해야 한다. 본입찰은 내달 26일로 예정돼 있어 향후 유통업계 판도에 중대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