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소도시 어린이 식생활안전 점수 '양'

인구 50만 미만 전국 123개 지자체 평가결과 평균 62.73점

전국 중소도시 어린이들의 식생활 안전 및 영양수준이 낙제점을 간신히 모면하는 수준으로 평가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전국 123개 인구 50만 미만 중소도시의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를 평가해보니 100점 만점에 평균 62.73점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식약청은 13일 ‘2011년도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 조사·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평가 대상은 서울 19개를 비롯해 부산 15개, 대구 6개, 인천 7개, 광주 5개, 대전 5개, 울산 4개, 경기 19개, 강원 7개, 충남북 8개, 전남북 10개, 경남북 16개, 제주 2개 등 인구가 50만명이 채 안 되는 전국 123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시군구)였다. 

이날 식약청이 발표한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는 ▲식생활 안전(40점) ▲식생활 영양(40점) ▲식생활 인지·실천(20점) 등 3개 분야 20개 항목(총점 100점)을 평가한 결과다.

식약청은 지자체별 어린이 식생활안전과 영양수준, 환경개선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으로 나누어 3년마다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를 조사·평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약청은 2010년 대도시, 지난해 중소도시의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를 조사·평가했다. 올해는 ‘농어촌 군단위 지자체’를 대상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를 조사·평가할 예정이다. 

식약청이 13일 발표한 지난해 전국 123개 ‘중소도시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 조사·평가 결과는 평균 62.73점이었다. 2010년 ‘대도시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 59.56점에 견줘 3.17점이 높은 것이다.

이에 대해 식약청은 “도시규모에 따른 차이보다는 식생활 환경개선에 대한 지자체들의 전반적인 관심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하면서, 중소도시가 영양관리보다 안전관리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역량을 집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분석을 내놨다. 

중소도시 식생활안전지수 가운데 ‘식생활 안전’ 분야는 평균 27.29점인 데 비해 ‘식생활 영양’은 평균 20.79점으로, 안전관리 점수가 훨씬 높았다는 이유에서다. 

식약청이 123개 중소도시의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를 상중하 그룹으로 나뉘어보니, 상위그룹에 포함된 18개 중소도시의 평균은 70.26점(67.90~74.41)이었다. 

식약청은 대체로 ‘식생활안전 분야’ 점수가 높은 중소도시가 상위그룹을 차지했다고 짚었다. “특히 식생활 안전 분야 세부 지표 중 ‘급식관리지원센터’가 설치된 8개 지자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받았다”는 게 식약청 설명이다.

조사·평가 대상 지자체 가운데 서울 성북·은평·금천구, 인천남구, 경기 오산·하남시, 제주 제주·서귀포시에 급식관리지원센터가 설치돼 있다. 

상위그룹에 속한 18개 지자체는 서울이 11곳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2곳, 대구·인천·대전·경기·제주 1곳씩이었다. 

중간그룹으로 분류된 87개 중소도시는 평균 62.53점(58.98~67.34점)을 받았다. 그런데 중간그룹은 다른 분야와 달리 ‘식생활 인지·실천’ 분야 평균점수가 하위 그룹보다 낮았다고 식약청은 설명했다. 

전국 초등학교 5학년 1만명을 대상으로 ▲고열량·저영양 식품 인지도 ▲올바른 식품구매 인지 실천수준 ▲세끼식사 섭취수준 등을 일대일 면접으로 조사한 ‘식생활 인지·실천 분야’ 평균은 상위그룹 14.86점, 중간그룹 14.61점, 하위그룹 14.68점이었다.  

하위그룹으로 분류된 지자체는 경북이 4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대구가 3곳씩, 서울·경기·충남 2곳씩, 인천·전남 1곳씩 등 총 18개 중소도시가 낮은 점수를 받았다.

하위그룹 평균은 56.19점(47.63~58.77점)인데, “급식학생 100만명당 100명 이상 식중독 사고 발생 등 ‘식생활 안전’ 분야가 취약한 중소도시들이” 하위그룹으로 밀렸다는 게 식약청 설명이다. 

식약청은 하위그룹의 경우 “특히 급식시설 식중독 발생율과 함께 우수판매업소 지정 및 재정 지원율,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 관리율, 식품보호구역 지정학교수 대비 전담관리원 비율 등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식약청은 ‘식생활 안전지수’를 통해 “어린이 식생활 환경개선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지자체간 우수한 지자체를 벤치마킹하는 등 미흡한 부분을 강화하도록 하는 맞춤형 식생활 안전관리 업무를 추진해 전반적인 식생활 안전관리 수준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