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창간특집> "나트륨 사용량을 줄입시다!"

적극적인 홍보 캠페인과 실천, 확산 운동 필요


우리의 짜게 먹는 식생활 습관은 고혈압, 뇌·심혈관 질환, 위암 등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우리 국민은 세계보건기구(WHO) 하루 나트륨 섭취 권장량인 2000㎎의 두 배를 매일 섭취하고 있다. 

각종 성인병과 만성질환 발생률이 날로 높아지고, 나트륨 섭취가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는 이유다. 

이에 <푸드투데이>가 창간 10주년을 맞아 이달부터 ‘나트륨 줄이기 운동’를 집중 조명한다. 



 

최근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나트륨 과다섭취로 인해 30대 이상 성인층 30%가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을 겪고 있다” 며, “나이가 들수록 의료비는 증가하게 되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도 낭비인 셈이다” 라고 말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고혈압이나 당뇨 같은 7대 만성질환으로 지난 한 해 동안 쓴 비용만 10조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27%를 차지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27일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이 OECD 평균보다 3배 정도 많다면서, 식생활 습관에서 식품의 저염화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판단해 ‘나트륨 저감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나트륨 저감화 추진

 

지난해 정부는 고령화, 건강수명 연장 기대 등 미래 수요에 미리 준비하자는 취지에서 오는 2020년까지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을 20% 이상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방자치단체, (사)한국외식업중앙회와 공동으로 나트륨 줄이기에 자율적으로 참여한 전국 3개 권역 114개 음식점을 ‘나트륨 줄이기 참여 건강음식점’으로 지정했다.


‘나트륨 줄이기 참여 건강음식점’은 기존보다 나트륨을 평균 14% 정도 줄인 음식만을 제공하며 특히 나트륨을 줄인 음식의 총열량, 나트륨 함량 등의 수치를 메뉴판 등에 제공한다.

 

식약청 관계자는 “건강음식점에서 소비자들이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한 올바른 음식을 선택할 수 있게 돼 건강한 식생활 문화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며 “올해는 ‘나트륨 줄이기 참여 건강음식점’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 나트륨 줄이기 외식 시범 사업을 경기·강원·경기·전라·제주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급식·외식·가정식·식품 등 모든 섭취경로의 나트륨 줄이기를 추진하면서, 갑작스런 맛의 변화에 소비자를 적응시키기 위해 단계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이는 외식업계의 경우 조리자가 나트륨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요구가 필요하다는 지난해 식약청의 조사결과에서도 나타난 바 있다.

 

외식업계는 나트륨 줄이기 필요성을 인식(75%)하고 있으나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요구할 경우에만 실천할 수밖에 없는 입장(93%)이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식품업계의 저나트륨 개발 열풍이 외식시장에까지 확산돼 소비자가 직접 저나트륨을 요구하는 날이 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나트륨 줄이기 국민운동 본부’ 발족

 

학계에서는 정부와 업계의 시범 사업만으로는 전 국민들이 나트륨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민간 주도의 대대적인 국민운동의 필요성을 2007년부터 꾸준히 제안해 왔다.

이에 식약청은 9일 소비자, 학회, 협회, 언론, 공공기관 등으로 구성된 ‘나트륨 줄이기 국민운동본부’(공동위원장 김재옥·오병희) 발족해 급식·외식 등 섭취경로별 나트륨 중점관리에 나설 예정이다.

 

대다수 국민은 나트륨 적정 섭취량도 알지도 못한 채 잘못된 식습관을 유지하고 있다. 건강한 저염식 식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나트륨에 대한 문제점을 알려주는 것부터 시작해 좀 더 건강한 식생활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운동본부 관계자는 “나트륨 줄이기 홍보 캠페인과 실천, 확산 운동을 추진해 소비자들의 인식과 행동변화를 유도 하겠다”며,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실천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영양사협회, ‘나트륨 줄이기 위한 실천지침’

 

우리나라는 그동안 급격한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으로 식생활에 큰 변화가 일어나 주요 사망 원인이 감염성 질환에서 암이나 뇌·심혈관 질환, 당뇨 같은 만성질환 형태로 바뀌었다.

 

세계 각국은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자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소금섭취 감량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소금섭취량을 줄여 나가고 있다.

 

2007년부터 (사)대한영양사협회는 꾸준히 국민의 소금섭취 감량을 위한 홍보를 해왔다.


소비자들이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나트륨을 줄이기 실천지침’


1단계. 식품 선택할 때


1. 생선은 자반보다는 날 생선을 선택한다.

2. 가공식품보다는 가능한 자연식품을 선택한다.

3. 가공품은 영양표시를 꼭 읽고 나트륨 함유량이 적은 것을 선택한다.

4. 양념은 저염간장, 저염된장, 저나트륨소금 등 저염제품을 선택한다. 

 - 단, 저나트륨소금은 혈압을 낮추는 약물을 복용하거나, 신장기능 저하환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

5. 장아찌, 젓갈, 염장미역 등 염장식품을 되도록 선택하지 않는다.


2단계. 조리할 때


1. 조리시 마지막 단계에서 음식의 간을 한다.

2. 소금을 적게 넣고 향미채소나 향신료 등을 사용하여 맛을 낸다.

 - 향이 있는 채소나 양념(후춧가루,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양파, 카레가루)을 사용해  맛을 냄

 - 신맛과 단맛(식초, 레몬즙, 설탕)을 이용하여 맛을 냄

 - 음식을 무칠 때 김, 깨, 호두, 땅콩, 잣을 갈아 넣어 맛을 냄

3. 김치는 가능한 겉절이, 포기김치는 살짝 절여 싱겁게 담근다.

4. 라면, 즉석국 등 가공식품을 조리할 때는 스프 양을 적게 넣는다.

5. 생선은 소금을 뿌리지 않고 굽는다.


3단계. 식사할 때


1. 하루 한 끼는 김치 대신 생채소와 쌈장을 먹는다.

2. 튀김, 전, 구운 생선 및 회는 양념장에 살짝 찍어 먹는다.

3. 국(찌개)의 국물은 작은 그릇에 담아 적게 먹는다.

4. 탕 종류를 먹을 때는 소금보다 후춧가루, 고춧가루, 파 등을 먼저 넣는다.

5. 메뉴 주문 시 소금(혹은 소스나 양념 등)을 넣지 않도록 요청하고, 추가로 사용하는 소금, 장류, 소스, 드레싱을 줄인다. 


식품업계, 나트륨을 줄인 제품 개발

 

나트륨에 대한 문제를 인식한 식품업계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는 제품 개발·공급으로 소비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목표를 세웠다.

 

업계에 따르면 1994년 업계 최초로 나트륨을 줄인 간장을 선보인 샘표는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저염간장 미네랄 플러스+’를 새롭게 출시했다.


이 제품은 기존 간장 대비 염도를 25% 낮추고 신안 천일염을 사용해 미네랄을 강화시켰다. 염도는 낮아졌지만 양조간장의 맛과 향을 그대로 갖고 있다.

 

청정원과 CJ제일제당은 각각 ‘햇살담은 자연숙성 저염 진간장’, ‘해찬들 맛있는 숙성온도 32˚ 숙성 천일염 양조간장’을, 신송식품은 ‘저염간장’을 출시하는 등 나트륨을 줄인 제품을 개발했다.

 

된장류도 나트륨을 줄인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최근 ‘해찬들 4選(선) 저염된장’을 선보였다. 국산재료를 사용해 기존제품 대비 염도를 25% 낮췄다.

이외에도 청정원 ‘순창 재래식 안심 生(생) 된장’ 등 대기업 제품뿐 아니라 홍천웰빙식품의 ‘독아지 숙성 저염된장’, 콩살림의 ‘저염된장’ 등 다양한 중소기업 제품들도 시중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라면, 나트륨 함량은 아직도 높아

 

지난해 8월11일 식약청은 한국식품산업협회와 식품 제조가공 업체들이 라면 속 나트륨을 4∼15% 낮추기로 하고 7개 업체가 참여한다고 밝혔다.

 

식약청은 '한국야쿠르트'의 경우 7개 품목에 나트륨 함량을 평균 15% 줄이고 '면사랑' 5개 품목(15%), '농심' 25개 품목(10%), '오뚜기' 31개 품목(8%), '삼양' 8개 품목(7%), '한스코리아' 14개 품목(4%) 등 나트륨을 줄인다고 설명했다.

 

업체들은 올해에도 라면 속 나트륨 함량을 3∼5%씩 줄이기로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라면 1봉지에 들어있는 나트륨 함량은 세계보건기구의 1일 섭취 기준치 1968㎎를 웃돌고 있다.

라면의 평균 나트륨 함유량은 1인분 기준으로 고등어 김치찌개(1355㎎) 배추김치(687㎎) 두부된장국(648㎎) 보다 높으며 영국(1600㎎)과 미국(2400㎎) 등 주요 선진국 허용 기준을 훨씬 초과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