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단도 '똑똑한(W.I.S.E)' 시대

외식 줄고 '집밥' 증가세…소·오리고기가 돼지고기 대체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우리 밥상에 이른바 똑똑한(W.I.S.E) 식단이 많이 늘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W.I.S.E는 ‘웰빙(Well-being), ‘고물가’(Inflation), ‘싱글용’(Single), ‘간편한’(Easy)의 영어 머리글자를 뜻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8일 최근 닐슨컴퍼니의 소비자 패널자료를 입수해 전국 가정주부 300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3년, 장바구니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웰빙·고물가로 건강음료 뜨고 돼지고기 지고

 

대한상의는 가장 큰 변화는 ‘웰빙’을 꼽았다. 지난 3년간 웰빙음료로 각광받았던 홍초·흑초 등 건강식 식초음료가 무려 112.2% 증가했다는 것.

 

또 커피 소비가 0.1%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차음료 소비는 14.2% 늘었으며, 유기농 등 다양한 요구르트 제품 소비도 7.1% 증가한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올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따른 방사능 우려로 생선 소비가 14.0% 주는 등 수산물 소비가 4.1% 감소한 반면, ‘국내 연안에서 길러진 김은 안전하다’는 인식으로 김 판매는 22.4% 증가했다고 대한상의는 전했다.

 

지난 3년간 서민층의 살림살이를 팍팍하게 만든 ‘인플레이션’에 따른 식단의 변화도 뚜렷했다. 구제역의 영향으로 가격이 폭등했던 돼지고기는 소비가 1.8% 감소되고, 대신 소고기와 오리고기 소비가 각각 8.1%와 2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대한상의는 소고기와 오리고기 소비 증가에 대해 호주·미국산 수입 소고기 증가와 오리고기가 건강식품으로 뜨고 있다는 점을 들기도 했다.

 

‘돼지소비 대체 현상’은 특히 30~40대 가정에서 두드러졌다. 30~40대 가정의 소고기 소비는 각각 16.0%, 3.9% 늘어났으나, 돼지고기 소비는 7.5%, 6.3% 준 것이다.

 

하지만 30~40대에 견줘 상대적으로 주머니가 가벼운 20대 가정은 소고기 소비를 9.0% 줄이는 대신 저렴한 닭고기(23.8%), 돼지고기(16.1%), 오리고기(3.2%) 소비를 늘렸다. 

 

외식 대신 ‘집밥’ 가정 늘어 관련제품 매출 ↑

 

인플레이션은 외식을 줄이고 직접 요리해 먹는 가정이 꾸준히 느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대한상의는 추정했다.

 

조미료의 대표 격인 ‘맛소금’ 소비가 54.4%나 늘고, 후추(11.8%), 참기름(9.3%) 등의 소비도 꾸준히 늘었다는 게 이를 방증한다. 식기를 닦을 때 쓰는 고무장갑과 행주 등 주방잡화 소비도 9.7% 상승했다.

 

반면 원당·밀 등의 수입원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설탕과 밀가루 소비는 각각 8.2%, 27.0% 줄었다.

 

‘싱글’ 가정의 증가는 한국 특유의 빨리빨리 문화와 결합해 ‘간편식’ 시장의 폭발적 증가에 영향을 미쳤는데, 싱글족의 필수품인 즉석 레토르트식품(즉석 밥·죽 등)과 씨리얼 판매가 각각 56.3%, 35.6% 상승했다고 대한상의는 설명했다.

 

냉동·냉장식품 소비도 3.3% 증가했다. 특히 1~2인 가구(12.0%)와 소가족 구조가 많은 20대(27.6%)가 냉동·냉장식품 소비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30대도 냉동·냉장식품 소비를 3.4% 늘렸으나, 40대(-2.2%)와 50대(-0.6%)는 냉동·냉장식품 소비를 줄여 대조적이었다.

 

또 등산·레저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스포츠 음료(37.2%)와 생수(26.9%)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만6000원씩 9번 월 23만원어치 장본다

 

우리 주부들은 월 평균 장을 보기 위해 약 23만4369원을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년간 주부들의 평균 장바구니 금액은 1회당 2만6041원, 장보는 횟수는 월 9번이었다. 이는 3년전 월 장바구니 지출 22만1988원에 견줘 5.5% 늘어난 것이다.

 

세대별로 30대, 40대 주부의 장바구니 지출은 -5.8%, -4.2%로 줄어들었다. 반면 경제적으로 안정된 50대는 14.2%로 늘었다. 싱글 또는 맞벌이 부부가 많은 20대의 장바구니는 -0.3%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소득별로는 월소득 200만원 미만 가정이 -24.7%, 200만원대 가정은 -5.6% 장바구니 지출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월 소득이 500만원 이상 가구는 14.5% 지출을 늘렸다.

 

지난 1년간 평균적인 장바구니 속을 들여다보면, 농축수산물이 55.4%(농산물 30.3%, 축산물 16.8%, 수산물 8.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우유·요구르트(5.8%), 대용식(5.1%), 냉동·냉장식품(4.7%), 과자(4.6%) 등이 뒤를 이었다.

 

주부들이 장을 보기 위해 가장 많이 찾는 장소는 대형마트(40.4%)였다. 이어 전통시장 및 정육점 등 단품매장(25.7%), 개인슈퍼(17.9%), 농수축협(6.1%), 기업형슈퍼(4.2%), 인터넷(2.9%), 백화점(1.8%)차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