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꽃게·대게 내장서 발암물질 검출

이타이이타이병 유발 카드뮴 기준치 최고 10배 이상

대형마트와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꽃게와 대게 내장에서 발암물질인 카드뮴(Cd)이 기준치보다 최고 10배 이상 검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16일 환경운동연합은 (사)환경과 자치연구소(소장 김좌관 부산가톨릭대 교수)가 지난 8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부산시내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서 유통되는 수산물·어패류의 중금속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특정 수산물에서 카드뮴이 기준치의 최고 10배 이상 검출됐다고 밝혔다. 

 

카드뮴은 발암물질 가운데 하나인 중금속으로 일본 도야마현(富山県)의 진즈(神通)강 하류에서 발생해 50여명이 목숨을 잃고 수백명이 고통을 당한 이타이이타이병을 유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과 자치연구소와 안동대학교 환경위해연구실 김영훈 교수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부산시내 재래시장 및 대형마트에서 총 20개 수산물, 85개 샘플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어패류에서 수은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카드뮴은 일반시민들이 즐겨먹는 일부 수산물에서 기준치를 크게 넘어섰다.

 

환경과 자치연구소와 안동대 환경위해연구실은 꽃게와 대게, 낙지의 경우 시민들의 식습관을 고려해 살과 내장을 분리한 뒤 카드뮴 함유량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살코기의 카드뮴 함량은 기준치 이내였지만, 내장의 경우 대게는 3개 샘플 중 1개 샘플이, 낙지는 4개 샘플 중 2개 샘플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특히 꽃게는 4개 샘플 중 3개 샘플이 기준치를 1.15배에서 최고 10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치는 갑각류의 기준치가 미비해 연체류의 기준치를 적용했으며, “꽃게와 대게, 낙지 내장을 따로 분석한 이유는 수산물은 대개 내장을 버리고 먹지만, 꽃게·대게 내장과 낙지먹물은 시민들이 즐겨 비벼먹기 때문”이라고 환경운동연합은 설명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올해 수산물중금속 함유실태조사 결과 기준치가 초과한 카드뮴 중금속의 경우 대게가 기준치대비 1.029배, 낙지내장은 1.629, 1.533 배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꽃게의 경우 기준치 대비(연체류 2㎎/㎏) 1.151배, 2.071배, 10.081배(평균 4.677배)의 내장 내 카드뮴 농도를 보여주고 있어, 지난해 사회적 논란이 된 낙지와 갑각류의 내장이 올해 연구조사에서도 중금속 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2009년 이후 환경과 자치연구소는의 3년에 걸친 수산물 및 어패류 중금속 실태조사에서 일부 수산물이 특정 유해중금속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는 일관성을 나타내고 있어, 시민건강을 위한 안전대책마련을 더 이상 미룰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환경운동연합은 시민건강을 위한 조속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면서, ▲갑각류에 대한 식품안전 기준치를 마련하고 ▲‘수산물 안전가이드 라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구체적 지침과 수산물 안전섭취를 위한 대시민 홍보를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식약청은 현재 어류, 연체류 및 패류의 수은(Hg), 납(Pb), 카드뮴(Cd)에 대해서만 기준치를 정해 두고 있다”며 “꽃게, 대게 등 갑각류는 많은 국민들이 즐겨 섭취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해 중금속 허용 기준치가 즉각 마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모든 수산물을 대상으로 비소(As), 크롬(Cr), 구리(Cu), 아연(Zn), 망간(Mn) 등 중금속 환경기준도 추가로 마련할 것을 주장했다.

 

‘수산물 안전가이드 라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침과 대시민 홍보에 대해선 “성인은 중금속이 함유된 수산물의 섭취로 인한 피해가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지만, 임산부 및 신경 발달이 진행되는 태아와 어린이에게는 바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어 “지난해 환경과 자치연구소의 2차년도 수산물·어패류 중금속 발표 이후, 식약청과 농식품부는 갑각류에 대한 환경기준 및 수산물안전가이드 마련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진전이 없다”고 꼬집었다.

 

마지막으로 환경운동연합은 “진정으로 국민건강을 우려한다면 말보다 실천적인 정부차원의 실질적 조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