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약품 회수 저조..산정방식 변경검토"

현행 불량 식ㆍ의약품의 회수율이 비현실적으로 낮다는 이유로 보건당국이 회수율 산정방식 변경을 검토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5일 기자들을 대상으로 회수제도를 설명하는 자리에서 "출고량을 기준으로 하는 현행 회수율이 지나치게 낮아 국민들의 오해를 사고 있다"며 "시중 재고량을 기준으로 회수율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그러나 '석면 탈크' 사태 이후 식약청이 낮은 회수율에 대한 비판을 피하려는 방편이라는 논란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식약청 김형수 식품감시과학팀장은 "이미 '자연으로 돌아간 양(소비된 양)'까지 회수 대상으로 잡는 것은 불합리하며 낮은 회수율 수치가 공개돼 소비자들이 회수가 부실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남아 있는 제품량을 추정해 회수율을 높게 발표할 경우 국민들이 부적합 식. 의약품을 대부분 소비했다는 사실이 드러나지 않는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식약청 관계자는 "회수의 목적은 시중에 남아 있는 부적합 제품을 빨리 거둬들이는 것이므로 시중 재고량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회수 대상 제품의 시중 재고량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회수율이 '과다' 추산될 가능성에 대해서 식약청은 뾰족한 대안을 내놓지 못했다.

해당 업체가 예상 재고량을 축소 보고하면 회수율은 실제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게 된다.

실제로 이번 '석면 탈크' 의약품 회수 과정에서 중간 회수율이 200%가 나온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영세업체가 대부분인 식품은 시중 재고량을 추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식약청도 인정했다.

한편 석면 오염우려 의약품의 회수실적은 지금까지 사용되던 방식을 따르면 13%대인 반면 업계가 제출한 시중 재고량을 기준으로 하면 93%에 이른다고 식약청은 밝혔다.

식약청 관계자는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회수율 산정방식 개선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