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중독 발생, 음식점>학교>기업체 순

식약청, 최근 5년간 지역별 발생현황 분석 결과

최근 5년간 식중독 사건 발생율은 음식점과 학교급식소, 기업체급식소, 가정집 순으로 높았으며, 인구 백만명당 식중독 평균 환자수는 제주도, 울산, 강원, 전남, 인천, 대구 순으로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간 보고된 지역별 식중독 발생현황(1397건, 4만4105명)을 분석한 결과 이와 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발표했다.

식약청에 따르면, 원인시설별 식중독 발생율은 음식점이 49.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학교급식소가 17.3%, 기업체급식소가 8.1%. 가정집이 6.1%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남지역은 학교급식소(40.6%)에서, 울산지역은 음식점(64.7%)에서, 전남지역은 가정집(14.0%)에서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시?도별 인구 백만명당 평균 환자수는 제주가 489.5명으로 가장 높았고, 울산이 424.0명, 강원이 374.9명, 전남이 350.6명, 인천이 276.7명, 대구가 229.1명으로 전국 평균 227.5명보다 높았다.

이번 조사결과, 제주, 충남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여름철(6~8월)이 아닌 가을철(9~11월)에 식중독 발생 환자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해 식약청은 학교 급식 및 수학여행?체험학습 등에 의한 식중독 환자 발생비율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식중독 원인균 종류를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노로바이러스,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의한 식중독 발생건이 많았으나, 경북지역의 경우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고 식약청은 밝혔다.

이에 대해 식약청은 “이번 분석을 통해 도출된 지역별 식중독 발생 특성 등을 잘 활용해 16개 시?도와 함께 식중독 다발지역 및 시설을 선정, 집중관리 하는 등 효과적인 식중독 예방관리 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식약청은 6~7월 중에 역, 터미널, 휴게소 등에서 김밥과 도시락 등을 수거해 검사하고, 피서지, 행락지 주변 음식점 등에 대한 지도?점검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