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가축 사료부터 판매까지 HACCP 지정”


올해 식육판매업 HACCP 지정 165호점 돌파 목표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원장 곽형근, 이하 기준원)이 가축 사료에 대한 HACCP 지정 업무도 담당하게 됨에 따라 사료에서부터 판매까지 축산물 전반에 HACCP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원은 22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3월 22일 배합사료공장에 대한 HACCP 지정 업무가 기준원으로 이관됨에 따라 올해 안으로 5개 사료공장에 대해 HACCP 지정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3월 31일 가축사육단계에서 500번째 HACCP 농장을 지정한 바 있는 기준원은 올해에는 돼지 200농장, 젖소 100농장, 한우 100농장, 닭 100농장 등 총 500농장을 추가로 HACCP 지정할 계획이다.

축산물의 최종 단계인 식육판매업에 대한 HACCP 지정도 속도가 붙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ACCP 지정 식육판매업 1호점서부터 10호점까지 24개월이 걸린 반면, 10호점서부터는 매 2개월마다 HACCP 지정업소가 10개씩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기준원 유통1팀 김명희 팀장은 “갈수록 식육판매업에 대한 HACCP 지정이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올해 안으로 165개 업소까지 HACCP 지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역별로 전남과 강원, 전북, 경남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HACCP 지정율을 보인 반면,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서울에서는 HACCP 지정율이 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HACCP 홍보 강화 등 관련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축산물 HACCP에 대한 현안문제 등에 대해 곽형근 기준원장과의 질의응답 시간도 진행됐다.

- 현재 기준원의 HACCP 지정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기준원은 HACCP 지정 업무에서 무엇보다 공정성을 가장 중시한다. HACCP 지정에 부조리 등이 발생하면 그동안 기준원에서 쌓아왔던 HACCP 지정에 대한 신뢰가 한꺼번에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준원 직원들은 현장을 방문했을 때 공정한 심사를 위해 업체 관계자들과의 점심식사 조차도 안하고 있다.

이에 대해 뭐라고 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공정성을 위해선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기준원은 HACCP 기준에 대한 객관성과 고객 섬김의 자세를 그 다음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며, 전문성은 기본적으로 가져가고 있다.

- 아직까지 HACCP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낮아 홍보활동이 부족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는데.

식약청과 소비자원의 조사결과, 평균적으로 소비자의 HACCP 인지도는 20%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즉 우리나라 사람 5명 중 1명이 HACCP에 대해 알고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매년 인지도가 5%씩 높아지고 있어 고무적이라 생각한다.

이런 추세로 가다보면 내년 경에는 4명 중 1명, 더 나아가 한 가족 중에 1명 정도는 HACCP에 대해 알고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그리고 농식품부에서도 방송광고 등을 통해 HACCP을 홍보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것 같다.

일반식품에 대한 HACCP 지정은 500개소 정도지만 축산물은 이보다 3배나 많은 1500개소 달한다. 하지만 축산물 HACCP을 맡고 있는 농식품부는 일반식품을 담당하는 식약청 보다 오히려 HACCP 홍보를 안하고 있다.

그래서 일반 소비자들은 식약청에서 HACCP을 하는 줄 알고 있다. 따라서 HACCP에 대한 농식품부의 보다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 해외에서 HACCP 인증을 받은 업체도 기준원의 HACCP 지정을 받아야 한다. 이에 대해 이중으로 시설비를 투자해야 한다고 불평하는 업체도 많은데.

기준원은 도축가공공정 뿐만 아니라 농장에서부터 판매업소까지 전 과정에 걸쳐 HACCP 지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 민간 인증업체와 HACCP 기준 등이 다를 수 밖에 없다.

현재 축산업체 등에서 많이 이용하는 호주의 다국적 민간인증기업의 경우 HACCP 기준에서 방역 부분은 빠져 있으며, 위해 전문가가 아닌 프로그램 전문가가 HACCP 인증을 하고 있어 전문성이 결여돼 있다.

반면, 기준원에서는 방역을 포함해 각 부분 위해전문가가 직접 HACCP을 지정하기 때문에 더 안전성이 높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도 타 업체에서 받은 HACCP 인증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기준원의 HACCP 기준이 너무 앞서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지만 세계적으로 식품안전이 강화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선진국 보다 2~3년 앞서가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