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배달음식 천국' 대한민국, 나트륨 섭취 여전히 높아

식약처,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분석 결과 발표
1인 나트륨 섭취량 WHO 권고기준에 비해 1.5배 높은 수준
배달음식 나트륨 섭취량 2018년 166mg→2022년 255mg↑
당류, 어린이.청소년 WHO 권고기준 보다 10% 이상 섭취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074mg으로,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에 비해 1.5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당류는 WHO 권고기준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일부 어린이·청소년 등은 권고기준을 초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질병관리청)를 바탕으로 최근 5년(’18~’22년)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당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2018년 이후 나트륨 섭취량은 지속 감소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에 비해 1.5배 많이 섭취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또한 당류는 WHO 권고기준 보다 낮은 수준이나 일부 어린이·청소년 연령층에서는 권고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나트륨, WHO 권고기준에 비해 1.5배 많이 섭취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18년 3274mg에서 2022년 3074mg으로 200mg(약 6.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국민이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 통로인 ‘김치, 국·탕·찌개, 면류’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그간 줄어든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2022년 나트륨 섭취량(3074mg)을 분석해 보면 여전히 WHO 권고기준(2000mg/일, 소금으로 환산시 5g)에 비해 1.5배 높은 수준이며, 남성의 경우 하루 평균 3576mg, 여성은 2573mg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음식점에서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은 점차 감소한 반면, 가정에서 배달·포장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배달·포장음식으로부터 나트륨 섭취량(mg/일)은 2018년 166mg에서 2022년 255mg으로 늘었다. 이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식품 섭취 트렌드 변화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영향으로 보인다.


일상생활에서 나트륨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장소는 가정이었는데, 이는 김치, 국·탕·찌개와 같이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들을 주로 가정에서 섭취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에 식약처는 가정에서 국·탕·찌개 조리 시 소금, 젓갈 등의 사용을 줄이고 표고·다시마·멸치가루 등으로 대체하는 조리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음식점에서 배달·포장음식을 주문할 때는 양념을 따로 요청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나트륨을 적게 섭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당류, WHO 권고기준 보다 낮은 수준으로 섭취

 
2022년 국민이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당류 섭취량은 2018년 36.4g(1일 총 열량의 7.4%)에서 2022년 34.6g(1일 총 열량의 7.6%)로 5년간 비슷한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WHO 권고기준보다 낮은 수준이다.


최근 5년간 우리 국민이 당류를 많이 섭취하는 통로인 ‘음료류’ 소비가 약 30% 증가했음에도 음료류를 통한 당류의 섭취량은 증가되지 않았다. 이는 국민이 탄산음료 대신 당류가 적은 탄산수 등을, 설탕을 섞은 믹스커피 대신 블랙커피를 많이 섭취하는 등 최근 소비 패턴 변화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일부 어린이.청소년, WHO 권고기준 보다 10% 이상 섭취

 
한편, 2022년 당류 섭취량을 분석해보면, 국민 전체 평균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기준에 비해 낮은 수준이긴 하나, 일부 어린이·청소년 등의 집단에서 WHO 권고기준을 넘어 1일 총열량의 10% 이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부 어린이·청소년 연령층에서 당류 섭취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하루 식사(총열량)에서 빵류, 당 함량이 높은 과일·채소음료류, 탄산음료 등을 상대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식약처는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간식으로 과자·빵·떡류 보다는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고, 커피를 마실 때는 설탕이나 시럽을 줄이며, 탄산음료 보다는 물 또는 탄산수를 마시는 등 일상속에서 당류 줄이기의 노력을 당부했다.

 
또한 식품의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하는 것이 나트륨·당류 섭취량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조사 결과에 따라 식약처는 영양성분 및 나트륨·당류 저감 표시 대상 식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영양표시 확인방법 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식약처는 우리 국민의 나트륨·당류의 적정 섭취를 위해 나트륨·당류 과잉섭취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홍보와 함께 영양표시 대상식품도 지속적으로 확대했으며, 국민 다소비 식품을 중심으로 나트륨·당류 함량을 줄인 저감제품 개발·유통을 지원해 왔다.

 
식약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주기적인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조사와 이에 기반한 식생활·영양안전 정책을 통해 우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