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고] AI대책 정부는 '혼란', 국민은 '심란'

박완주 의원, 3년 만에 찾아온 불청객 AI

설명절을 앞두고 고병원성 조류인풀루엔자(AI) 소위 조류독감이 전국으로 확산될 기미를 보임에 따라 국민들을 심란하게 하고 있다. 지난 2011년 조류독감이 축산 농가에 큰 피해를 야기한 이래 3년만이다.

 
천안만 하더라도 애써 사육한 4만 마리가 넘는 종오리들을 살처분해야 했고 매몰지 마저 부족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구제역과 AI가 동시에 발생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겪지 않았던가?

 
당시 정부는 사전 예방책이나 대응책 없이 우왕좌왕하다가 전국 확산을 손놓고 바라보는 상황이었다. 현재 정부의 대응은 그때와 대비하여 얼마나 나아졌을까? 아쉽게도 현재까진 낙제점에 가깝다.


AI 초동방역 실패 정부는 철새 탓
 

 
현재 전국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진되거나 H5N8 바이러스가 검출된 농가는 모두 27곳이다.

 
지난 16일 전북 고창의 오리 농장에서 첫 의심신고가 접수된 뒤  부안, 고창의 오리 농장 떼죽음으로 이어지더니 충남, 전남, 경기도 화성, 내륙지방인 충북에서도 처음으로 AI가 발병했다. 26일 의심신고가 접수됐던 천안은 28일 AI가 발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험칙상 우리나라에 AI가 발생하는 것은 이미 예견된 일이라는 점에서 정부의 철저한 방역이 AI대책의 최우선 과제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정부가 호남지역 이동정지명령을 해지한 지 일주일 만에 이처럼 서해안 전역과 내륙으로까지 확대된 것은 초동 방역의 실패라 할 수 있다. 

 
더불어 감염원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그동안 감염원을 밝히지 못하다 결국 내세운 게 철새인데 이마져도 확실한 증거조차 없다.

 
일반적으로 AI 발병의 큰 원인중 하나는 집단으로 사육되는 가금류 사육시스템이다. 이번 경우 역시 철새가 AI주범이 아닌 오히려 오리농가로부터 AI를 옮겨 받은 ‘피해자’일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도 적지 않다.

 
AI의 발생을 통제하지 못하고 확산 경로를 파악하지 못한 초기 대응실패책임을 철새 탓으로 돌리려는 것은 아닌지 매우 의심스럽다.

 
정부가 긴급히 추진해야 할 또 다른 문제는 국민의 불안감 해소다. AI발생으로 가금류 소비가 줄게 되면 축산 농가와 영세 음식점들은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과거 AI사태 때도 소비자들의 가금류 소비가 줄면서 군부대의 사병들만 닭요리를 포식했다는 웃지 못 할 일들이 인터넷에 종종 소개된바 있지 않은가?


국민들에게 AI데쟈뷰 보여줘선 안 돼
 
 
고병원성 AI가 처음 발병해 온 나라를 뒤흔들었던 때가 2003년이다. 이후 2006년 2008년 2010년 연달아 발병했다. 발병 때마다 평균 600만 마리가 넘는 가금류를 매몰 처리했다.

 
지역농가들은 패닉상태에 빠졌을 뿐 아니라 수백만마리의 오리와 닭을 살처분하는 사태는 섬뜩함과 중세의 잔혹함마져 느끼게 한다.
 
 
중세 흑사병을 막는다는 명목으로 자행된 마녀사냥의 비이성이 현대판 가금류 잔혹사로 재현되었다고 한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국민의 대명절을 앞두고 이래저래 국민만 심란하다.

 
정부가 지금이라도 정신 바짝 차리고 감염원의 철저한 규명과 방역, 국민의 불안감 해소에 만전을 기하기를 바랄 뿐이다. 국민들은 더 이상 2,3년 주기로 반복되는 AI데쟈뷰를 보고 싶어 하지 않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