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오비맥주가 4월부터 맥주 출고가를 평균 2.9% 인상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실제 소비자 가격과 업계 추이를 고려하면 실제 인상률이 발표치의 2배를 넘는 5% 이상일 가능성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3일 성명서를 통해 “편의점에서 카스 355ml 가격이 기존 2,250원에서 2,500원으로 무려 11.1% 인상됐다”며 “출고가 2.9% 인상이라는 오비맥주의 설명과 달리, 소비자 부담은 훨씬 더 커졌다”고 밝혔다. 오비맥주는 고환율과 고유가로 인한 원재료 비용 상승을 인상 요인으로 설명했지만, 실제 맥아 가격은 전년 대비 1.2% 상승에 불과하고, 홉(호프) 역시 8.7% 상승했을 뿐이라는 것이 협의회의 분석이다. 특히 홉은 맥주에 소량만 사용되는 원료로, 실질적 가격 인상 요인으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업계 1위의 압도적 실적…“원가 압박은 핑계” 협의회에 따르면 오비맥주의 2023년 영업이익률은 15.3%로, 동종 업계인 하이트진로의 4.5% 대비 약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또한 오비맥주의 3년 평균 매출원가율은 43.1%로, 급격한 원가 상승의 압박을 받았다고 보기 어렵다는 평가다.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한때 품절대란을 일으키며 중고앱에서 리셀가로 판매됐던 점보 도시락 라면과 아사히 슈퍼드라이 생맥주캔의 물량이 쏟아지고 있다. 점보도시락은 팔도 도시락 브랜드 IP를 GS25가 제공받아 내놓은 제품이다. 기존 도시락보다 8배 크기의 '점보' 사이즈로 가격은 8500원으로 이다. GS25 매장엔 5월31일부터 순차적으로 입고됐다. 하지만 1차 물량을 5만개 규모로 잡았지만, 고객 수요를 쫓아가지 못했다. 시중에서 이 제품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중고 거래 시장에선 정가 8500원보다 2~3배 웃돈을 붙여 되파는 리셀러도 있었다. 또, GS리테일 전용 앱인 '우리동네 GS앱' 가입자 수는 이전보다 48.2% 증가했다. GS25 측은 "점보 도시락 재고를 확인하고 구매하기 위해 가입자 수가 증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점보도시락을 찾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제품 확보 경쟁도 이어졌지만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GS25는 한정 기획상품이었던 점보 도시락을 상시 운영 상품으로 전환키로 했다. 매주 금요일 점포당 2개씩 주문이 가능토록 공급 일정을 변경했고 향후 생산라인 확충 등을 통해 공급량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이다. 지난 5월 롯데아사히주류가 출시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늦더위가 이어지고 그만큼의 맥주 성수기도 길어지면서 하이트진로와 오비맥주의 마케팅전쟁도 지속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오비맥주 한맥은 가수 겸 배우 수지를 브랜드 모델로 발탁하고 신규 캠페인을 시작했다. 한맥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한창인 2021년 출시돼 홍보가 어려웠지만 오비맥주는 최근 마케팅을 활발하게 벌이고 있다. 오비맥주의 한맥은 지난 3월 거품 지속력과 부드러운 목넘김을 강화해 리뉴얼 출시한데 했다. 사측은 하반기에는 수지로 발탁하고 수지와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 본격 돌입할 예정이다. 한맥은 지난 14일 공식 유튜브와 SNS 채널을 통해 캠페인 프리 론칭 영상을 선보인데 이어, 신규 캠페인 광고 본편을 공개했다. 영상은 부드러운 거품으로 채워진 한맥 잔을 바라보는 수지의 모습으로 시작되며 ‘맥주 첫 모금의 맛이 끝까지 갈 수 있다면 그 상상이 현실이 됩니다’라는 내레이션을 넣었다. 지난 4월 출시한 하이트진로의 켈리는 광고모델인 손석구 효과를 보며 출시 이후 99일 만에 1억병 판매를 돌파했다. 하이트진로는 ‘라거의 반전’이라는 슬로건 아래 부드러운 첫 맛과 강렬한 탄산감을 강조하기 위해 이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맥주 수요가 많아지는 여름 성수기를 맞아 주류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특히 올 여름은 야구장 내 맥주 반입이 허용되고 일본맥주의 마케팅이 치열해지면서 업체간의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가 지난달 출시한 '켈리'는 2019년 3월 출시한 테라보다 빠른 속도로 팔리며 순항중이다. 업계는 맥주시장 1위이자 경쟁자인 오비맥주의 매출을 가져왔다는 평가다. 켈리는 출시 한 달 만인 이번 달 12일 기준 누적 판매량 111만 상자를 넘어서 약 3162만병(330mL 기준)이 팔렸다. 1초에 약 10.2병이 판매된 셈이다. 국내 맥주 브랜드 중 최단기간 100만 상자를 돌파했던 테라보다 약 3일이 빠른 속도다. 하이트진로에 따르면 올해 맥주 판매량은 643만 상자다. 516만 상자를 판매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7만 상자를 더 팔아 약 25%의 성장률을 보였다. 테라 판매량은 358만 상자다. 전년 328만 상자보다 30만 상자 증가했다. 필라이트와 기타 주류를 포함해 전체 주류를 127만 상자 더 팔아 증가율 약 26%를 기록했다. 테라는 맥주 시장에서 30% 후반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출시 이후 연평균 3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과당을 넣지 않은 ‘제로 슈거’가 소주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대표 박윤기)가 출시한 희석식 소주 신제품 '새로'가 기대 이상의 성적을 내며 소주시장을 파고들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 9월 출시된 새로가 3개월간 누적 2700만병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출시 이후 한 달간 판매량은 680만병, 700만병, 1300만병으로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매출액 역시 매달 늘어나며 석 달간 172억원을 기록해 회사 목표치였던 10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현재 주류시장 중 식당, 술집 등 유흥시장 회복이 더디지만 내년 시장이 정상화되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서울·수도권 중심 상권을 시작으로 식당, 술집, 편의점 등 입점률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다"며 "유통채널 입점을 확대해 내년에는 매출 1000억원 브랜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는 과당을 넣지 않은 '제로 슈거' 소주다. 과당을 넣지 않고 에리트리톨, 효소처리 스테비아 같은 대체당을 쓰고 증류식 소주를 소량 넣어 맛을 냈다. 326㎉로 '제로 칼로리'는 아니지만 과당을 쓰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