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가임기 여대생 90%가 영양불균형

2세들의 건강에 빨간불

여대생들의 불규칙적인 식생활로 인해 다음 세대가 위험해지고 있다.

이롬라이프 부설 생명과학연구원은 ‘여대생의 식습관과 다이어트 및 영양 실태’조사결과를 최근 발표했는데, 가임기인 여대생들의 체격 및 영양 불균형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조사는 지난해 8월부터 올 10월까지 젊은 여성의 식생활과 영양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조사로서 여대생 207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55.4%가 체중 이상, 20%가 마른비만, 20%가 복부 비만이고, 90%가 영양 불균형 상태였으며, 빈혈, 위장질환, 변비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롬라이프 생명과학연구원 박미현 박사는 “20대는 임신과 출산이 가장 많은 시기며, 가임기 여대생의 상당수가 체격 및 영양 불량상태로 질병 보유율 또한 높은 것은 앞으로 태어날 2세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되고 있다”고 말하고, “영양불량은 초경을 지연시키고 폐경을 촉진해 생식수명을 단축할 뿐 아니라, 심한 경우 무배란 및 무월경 상태를 초래하기도 한다” 고 경고했다.

자세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체중과는 무관하게 체지방 불균형 및 체격 이상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 중에서도 마른비만이 각각12.1%와 31.7%, 복부비만이 각각 11.2%와 25.6%에 달했다.

또한 전체 조사대상자의 1일 평균에너지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65∼82%, 칼슘 섭취량은 48~59%, 철분 섭취량은 56~63%에 그쳐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섬유질 섭취량의 경우 3.49~4.22g으로 세계보건기구(WHO) 권장량인 27~40g의 13~16%에 불과했다.

비타민 섭취는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는 부족한 데 반해 비타민C의 섭취는 단백질, 인과 함께 한국인 영양권장량보다 과잉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 대상자 중 28.9%가 변비, 22.3%가 위장질환, 16.3%가 빈혈, 15.1%가 부종 등의 질병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롬라이프 생명과학연구원은 이러한 체격과 영양의 불균형 상태와 각종 질병은 조사대상자들의 불규칙적인 식생활에 상당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는데, 조사대상자의 71.7%가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며, 57.2%가 아침을 결식(25.1%가 섭취하지 않고, 32.1%가 가끔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에너지 섭취량의 50% 이상을 간식과 저녁식사로 충당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간식의 종류는 과자, 빵, 케이크 류가 30% 이상을 차지했다.

식사에 소요되는 시간도 10분 이내와 10~20분 이내가 76.5%나 되었고, 권장되고 있는 식사시간인 30분 이상은 1.1%에 불과해 식사시간이 지나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은 고작 9%에 불과해 운동 부족 역시 여대생들의 건강악화의 큰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세 여대생의 평균 신체사이즈는 키 161.86cm, 몸무게 53.50kg, 체질량지수(BMI) 20.43 kg/m2, 허리둘레 72.85cm (28.68 inch), 엉덩이둘레95.29cm (37.52 inch), 허리둔부둘레비(WHR) 0.77cm로 파악됐다.

한국인체위기준치(제7차 개정판)보다 신장은 2.26cm크고, 체중은 0.8kg적고, 체질량지수(BMI)는 1.17kg/m2 낮았다.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아침을 꼭 챙겨먹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라본의 섭취를 늘이는 것, 적절한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롬라이프 측은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