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계자 없다” 39%, 부채 5.6억…낙농가가 무너진다

2024년 낙농 실태조사… 60대 이상 경영주 56%, 13배 많은 부채에 “만족 못 해”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낙농업이 심각한 고령화와 부채 부담, 후계자 부족 문제에 직면한 가운데, 정부와 제도의 실질적 개입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이재용)는 8일 발표한 '2024년 낙농경영 실태조사'에서 국내 낙농업의 경영주 중 60대 이상이 56.4%, 이 중 38.9%는 후계자도 육성계획도 없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70대 이상 경영주 비율은 지난해보다 4.6%p 증가해 13.4%에 달했으며, 평균 경영연수 31년 이상이 45.3%로 확인돼 낙농업이 장기 고령화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준다.

 

낙농가 평균 부채 5.57억 원…전국 농가 평균의 13배

“만족 못 한다” 50.6%… 헬퍼제도·청년 낙농 육성 시급

 

2024년 기준 낙농가의 호당 평균 부채액은 5억 57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8.3% 감소했지만 2022년 대비 8.7% 증가했다. 이는 전국 농가 평균 부채(4,200만 원)의 약 13배에 달하는 수치다.

 

부채 원인은 ▲시설투자(46.1%) ▲사료구입(19.5%) ▲쿼터 매입(18.6%) 등으로 나타났으며, 낙농업의 구조적 투자 부담이 여전히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0.6%)이 낙농업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이유로는 ▲고된 노동(38.6%) ▲장래 불투명(33.9%) ▲경제적 문제(26.1%)를 꼽았다.

 

후계자 부재 외에도 ‘낙농 헬퍼제도’의 실효성 문제가 제기됐으며, 헬퍼 요원 증원(38.6%), 정부 재정지원 확대(35.5%) 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FTA 이후 더욱 어렵다”… 원유 차등가격제 개편 목소리 높아

 

정부지원이 가장 필요한 대책으로는 ▲사료가격 안정(62.2%) ▲원유 차등가격제 개선 및 재정지원(18.3%)이 꼽혔다. 특히 FTA 관세 철폐 시점인 2026년을 앞두고, 94%가 “앞으로 더욱 어려울 것”이라고 답변해 위기의식을 드러냈다.

 

낙농정책연구소는 “고령화, 부채, 제도 변화가 맞물리며 낙농 기반이 붕괴되고 있다”며 “청년 낙농인 육성, 기준 원유량 구매 부담 완화, 세제 감면 등 제도적 정비 없이는 국내 우유 생산 유지가 어렵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