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품업계 “가격 인상 불가피…소비자 부담 최소화 노력”

식품산업협회 “고환율·원자재값 상승, 내수침체 장기화…물가 안정 위해 정부와 협의 중”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내 식품업계가 지속된 내수침체와 국제 원재료 가격 급등, 고환율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물가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의 협의를 지속하고, 할인행사 등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한 다양한 자구책도 함께 마련 중이라는 입장이다.

 

한국식품산업협회(회장 이효율)는 1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몇 년간 식품업계는 원재료·인건비·에너지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하며 가격 인상을 자제해 왔다”며 “그럼에도 내수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환율과 국제 원재료 가격이 지속 상승하면서 업계 전체에 가격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협회에 따르면 2022년 12월 10%까지 치솟았던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은 최근 2.9%(2025년 2월 기준) 수준까지 낮아졌으나, 향후 국제정세 악화와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가격 급등, 고유가 등의 여파로 이같은 흐름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특히 설탕, 커피, 코코아, 팜유 등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주요 원료의 가격 변동성과 고환율은 식품 제조 원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 역시 악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동향 조사에 따르면, CCSI는 93.4로 기준선(100)을 3개월 연속 하회 중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해 비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협회는 “일부 수출 주도형 식품기업이 K-푸드 인기에 힘입어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지만, 대다수 내수 중심 식품기업은 심각한 경영 부담을 안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최근 일부 업체가 단행한 가격 인상은 정국 불안과 무관하며, 수년간 가격을 동결해 온 상황에서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입장이다.

 

협회는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물가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에 나설 것”이라며 “향후에도 할인 프로모션, 유통단계 효율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장기적 물가 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