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8 국감] 즉석조리식품·이유식 제조업체, 최근 3년간 식품위생법 위반 657건

전혜숙 의원, 해썹 인증업체 위반 건수 59건 중 31건이 이물질 혼입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017년 기준 우리나라 1인 가구 수는 약 562만 가구, 전체 가구의 29%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혼밥, 혼술 등 새로운 식문화가 유행함에 따라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즉석조리식품들이 각광받고 있다. 


또한 잦은 야근과 출장 등으로 아이들에게 이유식을 직접 만들어 주지 못하는 가정들은 배달주문 등으로 이유식을 구매해 이용하고 있는 등 최근 변화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생활 패턴을 반영한 식품들이 개발·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물질 혼입 피해 사례 등 식품위생 이슈들이 제기되면서 즉석조리식품, 영유아 대상 이유식 등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날로 커지고 있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의원(서울 광진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 간 즉석조리식품 및 이유식(기타 영유아식) 제조업체의 식품위생법 위반 점검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총 7503건을 점검해이중 657건의 위반행위를 적발했다.

식품유형으로 구분하면, 즉석조리식품은 612건, 기타 영유아식은 43건이었다.

이들 적발업체들의 주요 위반내용들을 살펴보면 ▲이물질 혼입 및 이물발견 신고접수 후 미보고 등이 165건이었으며 ▲자가품질검사 미실시 및 부적합제품 유통 33건, ▲유통기한 미표시,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 및 보관 등 27건, ▲건강진단 미실시 22건, ▲지하수 등 수질검사 부적합이 19건, ▲질병예방효능 등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소비자가 오인·혼동할 수 있는 표현사용 18건, ▲위생교육 미이수 18건, ▲대장균 양성판정 17건, ▲영양표시 기준 미준수 및 허용오차 범위 위반 등 부적합 17건, ▲원재료명 미표시 및 허위표시 등이 12건이었다.

한편, 동 식품위생법 위반 업체들의 식품안전관리기준(HACCP/해썹) 인증여부를 살펴본 결과, 전체 위반 건 중 총 59건의 위반행위가 이들 해썹 인증업체로부터 적발됐다.

특히 이들 해썹 인증업체의 위반 내용을 보면 59건 중 절반 이상인 31건(52%)이 이물혼입 관련 위반사항이었다. 이러한 이물혼입 관련 위반행위를 연도별로 보면, ▲2016년 10건, ▲2017년 12건, ▲2018년은 6월 상반기 기준으로 이미 9건이 적발되는 등 해썹 인증을 받은 즉석조리식품 및 이유식 제조업체들의 이물질 혼입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전 의원은 “즉석조리식품 및 이유식 등 최근 소비자들이 자주 애용하는 식품들의 경우 더욱 위생관리를 강화해야 하며 이를 통해 믿고 먹을 수 있는 식품 안전을 위해 지도·감독해야 한다”며 “특히 해썹 인증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확대되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각별한 사후관리와 품질관리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3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