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학교 식중독 근본대책 절실

원인규명 못한 채 유사사고 되풀이
정부, 총체적 대책 마련 착수


학생들의 집단 식중독 사고가 전국 곳곳에서 연일 터져 나오고 있지만 정부나 학교당국이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속수무책이다.

특히 식중독 사고가 발생해도 대부분의 경우 원인조차 규명하지 못하고 있어 대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매년 되풀이 되고 있는 학교 식중독 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올 들어 발생한 식중독 사고는 7월15일 현재 92건 발생에 환자수 6천450명으로 식중독 사고 최대의 해로 기록된 지난해의 7월말 기준과 비교했을 때 이미 건수로 8건, 환자수로는 12명이나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올해의 경우 정부가 ‘식중독 최소화의 해’로 정하고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도 ‘공’을 많이 들였는데도 불구하고 ‘식중독 최대의 해’가 될 지경에 이르자 관계 당국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식중독 사고가 빈발하자 식약청은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학교급식소를 상대로 2차 특별점검을 벌였지만 그 기간 중에도 학교 현장에서는 4건의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는 등 정부의 대책이 그야말로 무대책으로 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단속위주의 정책에서 탈피, 근본적인 사고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위생관계 전문가들은 우선 급식으로 인한 사고의 개연성이 충분한데도 보존식에서 식중독 원인 균이 검출되지 않는 것은 보존식의 보관지침이 허술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보존식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현재 집단 급식시설에 대한 보존식 보관을 72시간으로 정하고 있으나 권장사항으로 돼 있어 잘 지켜지지 않는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존식 보관을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보존식의 샘플링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원인균의 검출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보존식의 수거와 보관방법 등에 대한 지침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정수기와 구내 매점, 외부음식 반입 등 급식 이외의 요인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 역시 빈발하고 있다는 점을 중시, 이에 대한 관리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교실 복도에 설치된 정수기의 경우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학생들의 이용실태도 비위생적이라 위생사각지대로 꼽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위생전담 인력을 배치해 학교현장에서의 위생문제를 체계적이고 책임있게 관리하도록 하는 것도 근본적인 대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김병조 편집국장/bjkim@f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