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안이 없으면 질의하지 않는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 김영록 의원은 국회에서 ‘대안이 없으면 질의하지 않는’ 의원으로 유명하다. 여기엔 피감기관에 대한 군기잡기나 질타성 질의를 하기엔 대표적 취약계층인 농어민의 현실이 너무 어렵다는 인식이 반영돼 있다.

이 때문에 김 의원의 질의는 곧 문제의 ‘해법’과 연결돼 있다. 김 의원이 이번 국정감사에서 따질 질문의 1순위는 한·미, 한·EU FTA 문제다. 그는 “현재 농어업, 농어촌은 42조원에 달하는 농어가부채와 아무런 대책 없는 한·미, 한·EU FTA 추진으로 회복불능의 늪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며 “이명박 정부는 부자감세를 폐지하고 오히려 농어가부채, 한미FTA 국내보완대책과 비정규직 대책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정확대를 해야 한다”고 벌써부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문제와 관련해서도 김 의원은 “캐나다는 지금까지 일 일곱 번이나 광우병이 발생했을 뿐 아니라 올해 3월에도 광우병이 발생했다”고 밝히고 검역주권 차원에서 이를 접근해 달라고 정부 당국에 주문할 예정이다.

그는 또 농자재값과 관련해 ‘맞춤형 비료’가 과연 농민에게 ‘맞춤형 비료’인지 아니면 불편을 주는 비료인지도 따져 보겠다는 각오다 이밖에도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해서는 원산지 표시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또 쇠고기 이력추적제도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관계 기관의 담당자를 불러 꼼꼼하게 따질 계획이다.

또 농업분야와 관련해 김 의원이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은 바로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이다. 그는 이 사업과 관련해 “농업예산을 가지고 전국의 117개소의 저수지에 대해 2조3000억원을 투자해 공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이는 농업을 위한 투자로 보기 어렵다”며 이 사업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4대강의 갈수기 때, 수량확보를 위한 불필요한 사업이라는 점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김 의원은 최근 불거진 낙지 머리 안전성 논란과 관련해서도 관계된 기관들을 불러 이번 발표가 ‘서울시의 이벤트성 발표’라는 점을 부각시킬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