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재권 한국급식식자재위생관리협회장

식품·의약품 같은 잣대 불합리
일방적 안전관리 실효성 없어
안전 저해시 강력처벌도 필요



제7회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지난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국무총리상을 수여 받은 한국급식식자재위생관리협회 김재권 회장을 만나 유공자 표창에 대한 소감을 들었다.

▷먼저 제7회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국무총리상을 수여받은 것을 축하드립니다. 최근 국민 먹거리 안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먼저 한 것도 없는 저에게 좋은 상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부끄럽습니다.

식품에서 안전이라고 하면 얼마만큼 관리를 하고 과학적 입증을 할 수 있느냐라는 것이 중요한데 식품은 의약품처럼 정확히 검증할 수가 없습니다. 식품은 식품처럼 해야 합니다.

소비자 욕구가 의약품처럼 요구하지만 음식은 안심하고 즐겨먹을 수 있으면 됩니다.

먹거리 안전을 위해서는 국가와 식품업체가 함께 머리를 싸매고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식품이 생산되는 과정은 너무 광범위합니다.

그래서 한 분야, 개인이 많은 비용으로 인적관리부터 최종 소비자관리까지 모든 것을 다 할 수 없습니다.

정부와 함께 정보를 공유해서 식탁의 안전을 위해 국민 건강을 해치는 것에 대해서는 처벌을 강화하는 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명박 정부가 2008년을 선진원년이라며 우리사회의 선진화를 주장했는데 식품산업의 선진화는 어떻게 해야 이뤄질까요?

- 정부는 식품산업을 저해하는 것으로 많은 규제라고 보고 있지만 정작 식품회사를 살펴보면 90% 이상이 50인 이하의 영세한 업체들이 규제 없이 만들고 있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사람 교육입니다. 그런데 정부는 가장 중요한 교육분야를 한국식품공업협회에만 의지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나라는 지자체를 비롯, 식품관련 여러 대학과 지방 식약청 등을 중심으로 선진화에 진입 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돼 있지만 제대로 활용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장을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추상적인 철학보다는 과학으로 현실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현장 중심의 전문가를 투입해 중·소업체를 대상으로 의식구조를 바꿀 수 있는 제대로 된 교육이 필요합니다. 외국의 경우처럼 철저한 위생 및 환경 조사를 거쳐 자격을 주는 그런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바라는 것이 있다면 이명박 정부는 우리 사회구조가 누구가 아니면 안된다는, 그런 막혀있는 구조를 시원하게 뚫어줘야 합니다.

현장을 아는 전문가들에게 자신들의 분야에서 발전을 위해 교육할 수 있고 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