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약청, 식품위해분석 한·일 워크샵 개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각도로 진행되는데 무엇보다도 정부와 식품산업체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 10일 오후 1시 보건복지인력개발원 대강당에서 ‘식품위해분석-위해평가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적용사례’라는 주제로 식품위해분석 한·일 워크샵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샵에서 ‘식품의 위해분석 : 일본의 적용 현황 및 적용사례’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한 일본 식품안전협회 히토시 코데어씨는 “일본은 지난 2003년 7월 식품안전기본법을 제정하고 리스크 평가를 목적으로 식품안전위원회를 설립했다”며 “리스크는 확률적인 문제를 말하는데 전체적으로 봤을 때 덧셈이 아니라 곱셈”이라고 말했다.

또 “리스크는 항상 존재하는데 리스크 발생상황에서 사람들마다 리스크를 인식하는 정도가 다르다”며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해 470명의 식품안전모니터요원을 선정해 설문조사를 하거나 전문가들에게 정보를 받고 식품안전다이얼이라는 전화를 설치해 일반인한테도 정보를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러가지 정보를 입수해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식품안전협회가 설립된 지 4년이 됐는데 총 840건의 의뢰중에 평가가 완료돼서 답신을 보내준 것은 절반정도”라고 밝혔다.

‘식품안전관리를 위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한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임영욱 교수는 “위해에 대한 정의 자체가 인식주체의 사회적 위치 또는 입장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해도 인식의 차이점과 합의점을 규명해 사회집단간의 정보전달 및 의사소통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위해인식의 영향요인으로 자발성과 공포감, 지식, 위해 통제가능성, 사회에 제공하는 이익 정도, 환경문제로 인한 연간 사망지수를 들 수 있다”며 “위해 메시지는 선전광고나 교육, 캠페인, 의료사업, 일상대화 등의 우리 생활 속에서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여러 가지 형태로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임 교수는 “식품 안전을 위한 위해 인식 및 의사소통은 ‘식품 섭취 pattern’ 또는 ‘대상별 life-style’에 맞게 고려돼야 하고 사회적 문화적 factor와 식품 공급체계에 대한 고려를 통해 위해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식품의 인체 위해 기여가 큰 만큼 국민의 관심증대에 대하여 소극적이고 감추려는 생각보다는 모든 것을 오픈하여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식중독균의 정량적 위해평가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활용’이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한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윤기선 교수는 “미생물을 변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가정에서 식품들이 어떤 형태로 어떻게 저장되어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며 “정부와 식품산업체들은 리스크에 기본을 두고 새롭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 마지막에는 안전하다라는 수준으로 커뮤니케이션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