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HACCP운영 전문인력 확충 시급


보건산업진흥포럼서 각계 의견 개진

식품산업체에서 HACCP제도에 대해 전문성이 입증된 심사 참여 전문가 인력을 확대하고 유통점에서의 HACCP 제품 전용 매장을 확보해 운영토록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27일 오후 2시 전경련 회관 3층 대강당에서 ‘국내 HACCP 지원사업 발전 방향’이란 주제로 제79회 보건산업진흥포럼을 개최했다.

국내 식품산업체에 대한 HACCP지원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코자 열린 이번 포럼에서 ‘HACCP제도에 대한 식품산업체 요구사항’이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한 박대우 CJ 식품안전센터 센터장은 “현재 일부 심사위원의 비전문성 및 현장경험 및 제품 이해의 부족으로 인한 과도한 요구와 HACCP 적용표시 또는 HACCP적용업소 지정 사실에 대한 광고를 허용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장점 부족으로 표시 확대가 부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 센터장은 “한 영업자가 다수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 각 영업장의 책임자가 영업자 교육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거나 또는 지정자의 대리 참석을 허용해야 한다”며 “HACCP지정·사후관리 매뉴얼의 세부평가내용 중 적용이 어렵거나 불필요한 부분은 삭제하고 해석이 애매한 평가항목과 구체성이 떨어지는 평가항목들을 구체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품질관련 항목은 삭제하고 식품안전과 관련된 항목으로 간결하게 구성하고 식품별 개별평가 항목을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으로 변경하고 식품별 개별평가사항을 모두 과감히 평가 배제시켜야 한다”며 “사후심사 주기를 1회/2년 또는 1회/18개월로 변경하고 문서를 간소화, 간결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평가 및 지도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HACCP지정을 받은 동종업계간 정보교류 활성화를 위한 장을 마련하고 보안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정보를 제외한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며 “실질적용이 가능한 HACCP기술에 대한 지원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식품안전 선진국의 HACCP제도 및 지원시스템 현황’이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한 중앙대학교 박기환 교수는 “국내 HACCP제도는 업체의 특성에 맞는 HACCP 모델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HACCP auditor을 양성해야 한다”며 “HACCP 지원사업단을 운영해 지정 업무 역량 강화 인증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 하는 등 독립기관으로 확대 운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식약청 손문기 식품안전기준팀장은 “HACCP제도는 적절한 계획 수립과 실천이 가장 중요하다”며 “올바른 이해와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홍보 및 지침을 보급하고 제도 활성화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 및 전문 인력을 양성하면서 현장 중심의 위생 관리를 위한 운영 체계를 개선해 기술 지원 및 재정 지원을 확대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